현재가 과거와 다르길 바란다면 과거를 공부하라.
--바뤼흐 스피노자--
바뤼흐 스피노자(1632~1677)네덜란드 포르투갈계 유대 혈통의 철학자.
스피노자가 쓴 저작의 과학적 태도와 포괄성,철학사적 중요성은 스피노자 사후 오랜 세월동안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오늘날에 와서야 18세기 계몽주의와 근대 성서비판의 토대를 놓은 유럽 17세기 철학의 합리주의자 세 거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인정하는 추세다.
대작 '에티카'에서 그는 데카르트의 정신-육체 이원론에 반대했으며,서양 철학에서 중요한 철학자로 손꼽힌다.
헤겔은 모든 근대 철학자에 대해 "그대는 스피노자이거나 아예 철학자가 아니거나 둘 중 하나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한다.
네덜란드의 유대인 공동체에서 생활해 ,유대 문화에 정통하였으나 비판적인 사상 때문에 유대인 랍비들로부터 제명을 당하기도 했고,
23세엔 유대사회에서 추방됐으며,그의 저작물은 가톨릭 교회의 금서목록에 오르기도 했다.
이후 안경알 깎는 일로 어렵게 생계를 유지했으며 ,생전에 교수직을 비롯하여 보수나 명예를 거부했고,가족의 유산도 누이에게 줬다.
그의 도덕적 특성과 철학적 성취를 두고 ,20세기 철학자 질 들뢰즈는 스피노자를 '철학의 왕자'라고 칭하기도 했다.
44세에 안경알을 깎을 때 나는 유리 먼지 때문에 결핵이나 규폐증이 악화돼서 폐병으로 세상을 떠났다.(위키백과)
그가 그리 단명을 한 것도 종교 탓,한 민족이었다는 팔레스타인과 피튀기게 전쟁을 하는 것도 종교 탓이라니...
바르게 잘 살자고 만들어진 종교가 불행을 자초하는 걸 보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보다 나은 미래를 원하며 과거를 공부하라는 말인데...
중년을 넘어선 사람로선 물질적으론 과거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풍족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과거를 그리워하는 경우가 많을 수도 있는데...
개인적으론 '현재를 과거처럼 정겹게 살고 싶다면 과거를 공부하라.'고 바꿔보고 싶다.
숨을 쉴 수 없이 살면서도 진정 사람답게 사는 사람들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라니...
겉으로야 화려하기까지 한 삶들을 살고 있지만,내면을 들여다보면 하나같이 빚의 노예들이란 사실이 드러난다는 슬픈 현실.
대출금을 갚기 위해 살고,카드 빚을 갚기 위해 일하고...
예전이라고 빚이 없었을까마는 ,지금은 빚을 권하는 세상이 돼 버려서 규모도 폭도 넓어져만 왔다.
그나마 예전엔 분수껏 살려는 사람들이 많았고,가족들끼리 이웃들끼리 챙겨주는 정이 있어서
분수에 넘치는 삶을 사느라 무리를 하는 대신 서로 돕고 의지하고 다독여주면서 다사롭게 살았었고,
그래서 늘 부족한 가운데서도 행복을 꿈꾸며 살았던 것 같은데...
지금은 차고 넘치는 삶을 누리면서도 지나치게 분수를 넘어선 삶의 규모에 치여 꿈을 갖는 게 사치인 세상이 돼 버렸다.
그저 하루하루 살아내는 것만으로도 감지덕지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말인데...
말로는 과거보다 더 잘 살자고 하면서도 ,과거를 배워, 과는 멀리하고 공은 계승을 하려는 노력대신...
과를 더욱 교묘히 위장해서 활성화시키고,공은 감추면서 자긍심이나 정체성을 잃게 만든 정치꾼들에 의해 민중들의 행복지수는 하락일로라니...
물론 그 장단에 놀아난 민중들의 무지와 무모함을 간과할 수는 없겠으나,
군주제하에서 살다가 민주제로 넘어오는 과도기를 식민지로 40년 가까이 살다보니 혼돈이 극에 달한 것일텐데...
잘났다며 지도자연 하는 것들이 민중들의 그런 약점을 이용해 악랄하게 착취를 해 왔고.
심지어는 역사를 왜곡하고 중요성을 축소시키는 식민사관을 만연시키기에 이르렀으니...
우리처럼 온갖 고난을 당하면서도 자랑스레 민족혼을 지켜온 자랑스러운 역사를 지닌 민족이 흔치 않음에도 ,
우리처럼 역사를 소홀히 하는 나라가 과연 몇이나 되는지 아는 사람이 있다면 묻고 싶다.(무식해서 죄송~)
지금의 논술고사에 해당하는 것이었을까?
예비고사가 있었고 본고사가 있었던 대학진학 코스가 ,학력고사로 일원화 되면서 암기위주의 공부를 3년간 하면서
가장 전형적인 암기과목이었던 국사를 싫어했던 나였는데,나만의 이야긴 아닐 것이다.
그렇게 국사를 따분한 과목으로 만든 것도 교활한 정치꾼들과 친일 매국노들에 의한 것이라 알게 된 것이...
나중에 사회생활을 하면서 '이야기로 읽는 한국사'인가 하는 책을 보면서 정말 재미있게 공부를 했었던 것이다.
한국사에 흥미를 갖게 된 것은 물론이고 역사라는 과목을 좋아하게까지 됐으니...
그런 사실을 모르지 않을 역사학자들이 아직도 그런 식으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정부가 역사과목을 필수과목에서 제외시켰다가 다시 채택하면서 역사의식을 희석시키는 만행을 저지르고 있으니...
지도자연,지성인연 해오던 잘난 것들은 반성을 해야 하고 민족 앞에서 석고대죄를 해야 할 것이다.
늙수그레한 인간들에게 '...것들이...'운운한 것을 갖고 시비를 걸고 싶은 사람이 있을지 모르나 나이만 많다고 해서 어른은 아니라고 보는 것이다.
어른은 커녕 죄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지금의 정치인들이나 지도자연 하는 사람들은 이 점을 명심하고 개과천선해야 할 것이다.
교육 시스템도 암기위주에서 동기를 부여하며 다양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당장 개선해야 할 것이다.
미래의 동량들인 아이들을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보다 못한 존재들로 전락시키고 있는 현교육 시스템은 확실히 잘못된 것이다.
시켜서 하는 공부가 아닌,내가 정말 하고 싶어서 청강생으로라도 사내대학에 진학을 해서
3교대 근무를 하는 것보다 보수가 훨씬 적은 주간근무를 하면서라도 부지런히 쫓아 다니며 야간대학에서 공부를 해 봤고,
몸은 피곤했지만 공부가 정말 재미있어서 ,주말이나 휴일이면 서울의 종로서적에 가서 책에 파묻혀 지내기도 했던 경험이 있는데...
지금의 점수기계를 만드는 시스템을 뜨거운 교육열이라고 말하는 사기는 그만 쳐야 할 것이다.
오바마가 멋도 모르고 우리의 교육열을 부러워하는 것에 우쭐하기라도 하는 걸까?
세계에서 제일 잘 사는 나라의 대통령이 부러워하는 우리의 교육이라며 자랑스럽다 생각하는 것일까?
남들이 이뤄놓은 업적을 달달달 외우는 것을 능력이라 하고,정작 사회에 나오면 따로 직무교육을 받아야 하는 이런 시간 낭비를 ?
이제 민중들을 기계로 찍어내는 규격제품 ,양산품으로 만드는 짓은 이제 그만!
http://blog.daum.net/migaein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