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큰 행운보다는,날마다 일어나는 소소한 편안함과 기쁨에서 행복은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벤자민 프랭클린--
벤자민 프랭클린(1706~1790) 미국.과학자.외교관.정치가.
그는 18세기의 미국인 가운데 조지 워싱턴 다음으로 저명한 인물일 것이다.
1757년까지 약간의 재산을 모았고,리처드 손더스라는 필명으로 펴낸 금언집 '가난한 리처드의 연감'은 처세술의 교본으로 자리를 굳혔으며,
전기에 관한 실험보고서와 이론은 유럽 과학계에 널리 알려지게 됐다.
그는 또한 1757년에 정치생활의 첫걸음을 내디딘 후 30여 년 간 큰 족적을 남기게 됐는데,식민지의 대변인으로 영국의 관리들과 토론을 벌였고,
독립선언서 작성에 참여했으며,미국 독립전쟁 때 프랑스의 경제적.군사적 원조를 얻어냈다.
또한 영국과 협상하는 자리에서 미국 대표로 참석해서 13개 식민지를 하나의 주권 국가로 승인하는 조약을 맺었으며,미국 헌법의 뼈대를 만들었다.
난로와 피뢰침,복초점 안경의 발명 등으로 일상생활의 편리와 안전에 기여한 바도 컸다고 한다.
소방대,도서관,보험회사,학교 ,병원 등을 북아페리카 처음으로 세우는 등 이바지한 바가 적지 않다.
프랭클린처럼 생각이 넓고 이타적인 사람이라면 널리 존경을 받았을 법도 하지만,그는 동시대에도 미움을 받은 경우가 있었고,
후세에도 종종 물질만능주의자니 위선자니 하는 비난을 받았다.
미국인의 국민성 가운데 가장 나쁜 특징들을 한데 모아놓은 인물이라고 하거나,근대 자본주의의 부정적 측면을 조장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이라는 ...
그러나 이런 비난은 오해에서 생겼다는 것이 그를 존경하는 이들의 생각이다.(브리태니커)
세계 경제를 장악한 무리들의 세계 단일화를 꿈꾸는 유대계 지하조직쯤으로 회자되는 프리메이슨리의 일원으로
빌 게이츠,빌 클린턴,존 록펠러 등과 함게 거명되고 있기도 하다.
우리는 세잎 클로버가 대부분인 풀밭에서 네 잎을 가진 돌연변이를 찾으려 혈안이 되곤 한다.
흔하디 흔한 ,정상적인 세잎 클로버들을 깔아뭉개가며 돌연변이 네잎 클로버를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허비해 본 적이 있는지?
그것이 얼마나 허무맹랑한 일인가를 알기 위해선 그 꽃말을 살펴보면 될텐데,뜨악해지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세잎 클로버의 꽃말은 행복이고,네잎 클로버의 꽃말이 행운이라니...
찾을 확률보다 못 찾을 확률이 훨씬 높은 행운을 위해 행복을 마구 짓밟아대고 있는 형국이잖은가 말이다.헐~
그러나 일부러는 아니더라도 토끼들의 균형적인 식사를 위해 눈에 띄면 뜯을텐데,그러다가 네잎 클로버가 눈에 띄면?
그냥 무시할까? 누군가에게 선물이라도 하려고 소중히 간직하진 않을까?
이백억 원에 가까운 로또 복권에 당첨된 사람이 사기범으로 구속됐다는 뉴스를 들었다.
여타 1등 당첨자들의 상당수가 그닥 행복하게 살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까지 겸해서 들려주는 그 뉴스를 들으며,
오락과 불우이웃 돕기 등의 명목으로 매주 한 장씩 사고 있는 나로선 남의 이야기 같지가 않은데...^*^
사실 기대를 걸진 않고 있고,토끼의 먹이를 구하려다 우연히 찾게 되는 네잎 클로버처럼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라는 생각으로 .
거의 유일하다시피 한 오락 비용으로 매주 오천 원씩을 쓰고 있는 것인데,그 중 얼마간이 불우이웃 돕기 등에 쓰인다니 떳떳하게 사행산업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1년에 너댓 번 보는 영화도 헌혈하면 주는 영화표로 보고 ,산행을 하는 것도 가까운 곳을 찾으며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그런데 그런 와중에 네잎 클로버처럼 불쑥 내게 당첨의 행운이 닥친다면?
나라면 공부를 하거나, 은퇴시기를 조금 앞당겨 평소 생각해왔던 보다 의미있는 일을 하는 데 보탤 것 같다.
얼씨구나 하면서 하던 일을 때려치우고 생전 안 써보던 돈을 마구 써대며 몰락의 길로 접어들진 않을 것 같은데,
평생 그런 큰 돈을 가져본 일이 없는 나로서 어찌 감히 장담을 하랴만,안타까운 마음이 앞서는 것은 사실이다.
그것을 대하는 태도 여하에 따라 오히려 행운을 원망하는 일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인데...
준비가 돼 있는 사람에게 행운은 디딤돌이 될 수도 있겠지만,얼떨결에 행운을 잡게 되면 오히려 불행해질 수도 있다는 가르침을 주는 사건일 것이다.
돈은 자기를 쫓아다니는 사람을 별로 안 좋아하고 자기가 달라 붙고 싶은 사람을 찾는다고 하지 않던가?
행운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행운이란 네잎 클로버를 찾기 위해 행복이란 세잎 클로버를 마구 짓밟아대는 사람처럼 살게 되면 행운을 찾더라도 불행해지고 말테니...
평소 흔하디 흔한 일상생활에서 행복을 찾아가노라면 행운이 다가와줄 수도 있고 평생 행운을 못 느끼고 말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라도 평소 누려오던 행복의 질을 유지시켜 주거나 업그레이드를 시켜줄 것이란 걸 다양한 자연현상과 사건 등으로 알려주고 있는 건 아닐까?
평소 작은 것에서 행복을 느끼지 못하거나 감사하지 못하는 사람에겐 행운이 닥치지도 않을 것이지만,
어쩌다 실수로 안게 되더라도 그것은 오히려 불행의 씨앗이 될 수도 있다는 걸 명심하고,
온갖 욕심으로 불안해 하거나 두려워 하며 불행해 하면서 행운이 와줘도 행운인 줄 모르고 불행의 씨앗으로 사장시키는 어리석은 삶은 살지 말아야겠다.
어쩌면 우리는 늘 행운을 누리며 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오늘 하루를 이리 살아서 누린다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큰 기적이냐며 감탄을 하는 사람들의 말이 과연 말이기만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