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책제안 포럼입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정책 아이디어, 제안 및 토론을 나누는 곳입니다.
♜♞♟ 톤론 게시판 형식으로 최근 댓글 순으로 게시물이 상위에 리스트업 됩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나라 사람은 법과 원칙을 우습게 압니다. 거리에 널려있는 불법주차, 그리고 이를 단속하지 않는 경찰만 보아도 알수 있습니다. 교통신호를 위반하고 그냥 달리는 차도 많지요. 작년말 파업하였던 철도노조도 마찬가지입니다. 철도를 민간화 하는지 마는지는 노조파업의 이유가 될수 없는데, 이를 알면서 불법파업을 하는 노조를 보고 우리나라 사람의 준법정신의 수준을 알수 있었습니다. 준법정신이 없는 상태에서 안전사고에 대한 매뉴얼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소용없다고 생각합니다. 매뉴얼대로 하지 않을것이 뻔하기 때문입니다. 준법정신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십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기적으로 해결을 할수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준법정신이 높은 싱가포르를 보면서, 윗사람이 법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그다음 이를 국민에게 강력하게 강제하는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한가지 추가 고려해야 되는 문제는 공무원의 근무자세입니다. 공무원은 일을 잘하나 못하나 직업안정이 보장되고 승진이 보장되기 때문에, 시간때우기식 근무태도가 일반적입니다. 뿐만아니라, 국민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떡이 생기지도 않기 때문에, 국민에게는 해가 되지만 자기에게는 이익이 되는 행동을 자주 합니다. 예컨대, 쓸데없는 규정을 만들기, 국민을 괴롭히는 사업을 만들어서 이를 이용해서 예산배정을 증가하고 부처를 증가시키기 (부처이기주의), 기타등등입니다.

따라서 정부의 활동은 될수있으면 줄이고, 관련된 공무원을 퇴직시켜서 세금낭비를 줄이고, 공무원 조직을 작게 만들면 만들수록 국민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전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제안하는 solution은 안전에 있어서 정부는 전혀 하지 않고, 안전관련 공무원자리를 없애는 것입니다. 어차피 안전문제를 공무원에게 맡기면, 전혀 안전해지지 않고 세금만 낭비됩니다. 정부가 안전에 대한 일을 전혀 하지 않고, 이를 국민에게 공포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생깁니다.


1) 국민은 안전에 대해서 더욱 많은 신경을 쓰게 됩니다.

2) 이를 바탕으로 안전에 대한 민간기업이 많이 탄생하게 됩니다. 안전관리 민간기업은 안전에 대한 조사를 해서 이에 대한 정보를 국민에게 돈을 받고 판매합니다 (예컨대, 안전관련 잡지등). 현재 자동차 경우, 안전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무료 또는 유료로 공급되고 있고, 공급하는 주체는 대부분 민간 업체입니다. 미국에서도 consumer report가 유료로 판매되고 있고, 여기서 안전정보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집니다. 이런식으로 선박안전, 지하철 안전, 빌딩안전, 아파트안전등이 다루어질수 있습니다.

3) 예컨대, 선박업체중 일부가 안전민간기업에 대한 안전조사를 거부할수 있습니다. 귀찮으니깐요. 이경우는 그 선박업체에 대해서 안전조사결과가 없으니 소비자가 그 선박업체를 외면할것이고, 망할것입니다. 이러한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서 선박업체는 자발적으로 안전민간기업에 대해서 협조를 할것입니다.

4) 안전민간기업중 일부는 엉터리로 안전조사를 하고 이 엉터리 정보를 소비자에게 판매할수도 있습니다 (예컨대, 안전기업-선박기업 유착). 나중에 민간기업이 제공한 안전정보가 엉터리라고 밣혀지면, 후에 소비자가 그 안전민간기업의 상품을 외면하게 되고, 그 기업은 망합니다. 이러한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서 안전민간기업은 제대로 일하기 위해서 노력합니다. (반면에 정부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경쟁이 없으니, 서비스가 좋던 말던 국민은 사용해야 되지요.)

5) 세금이 절약되니, 이를 바탕으로 국민의 세금부담을 줄일수 있습니다. 국민은 늘어난 소득으로 직접 안전관련 정보를 구입하는것이 정부를 통해서 하는것보다 훨씬 돈이 덜들고 수준높은 안전상태를 얻을수 있습니다.

6) 안전에 전혀 신경을 쓰고 싶지 않는 국민의 일부(예컨대 자살을 앞둔 비관자나 거리의 노숙자)는 자신에 선택에 의해서 안전관련 정보를 구입하지 않고 아무 선박업체를 사용하는 자유를 누릴수있습니다. 즉 국민은 더욱 높은수준의 자유를 누릴수 있습니다.


  1. 바로사는 사회 만들기를 위한 작은 시도

    횡단 보도 건널 때 신호 지키기 등 작은 법을 어기는 분이 많다는 것을 개탄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시도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제시된 방안은 벌칙을 강화하거나, 윤리/교양교육을 통하여 국민을 바꾸어 보려고 노...
    By이춘환 Reply0 Views7392 Votes0
    Read More
  2. 꼭 이책을 읽어주십시요 (안의원님께 건의 드림)

    안철수 의원님이 시간있으시면 다음의 책을 읽어 보십시오.http://mises.org/daily/3426 (Written by Murphy) 꼭 읽어주십시오. 책이 영어로 되어있고, 한글번역판은 아직 없습니다. 안의원은 똑똑하시고 영어도 잘하시니 책을 쉽게 읽으실 능력이 되시고, 핵...
    ByEddy Reply3 Views9012 Votes1
    Read More
  3. 노인복지법 개정안 발의

    고령사회를 대비하고 현재 시행중인 경로우대 제도에 따른 불안전한 재정운용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노인복지법을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6조(경로우대) 제1항, 제2항 중 "65세이상"을 "70세"이상으로 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법은 2016. 1. 1부터...
    By다산제자 Reply1 Views10694 Votes2
    Read More
  4. 새 술은 새 부대에

    안 철수 프래임은 기존 밥그릇 정치와는 다른 것이기에 새 부대에 담겨야 합니다. 그것이 빠르면 빠를 수록 모두가 승리하는 길이라 저는 확신합니다. 여기 모두들 향 후 일어나는 일들 짐작 또는 예측할 수 있습니다. 새 부대에 새 술이 담겨지는 일들이...향...
    ByAndrewHong Reply0 Views6159 Votes1
    Read More
  5. (가칭)"행정행위(처분) 결재권자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입힌 재정적 손실을 구상하기 위한 특별조치법" 발의

    이명박전대통령과 4대강 개발을 주창하며 적극 가담한 행정부 관계공무원과 용역보고서를 작성한 기관 및 수자원공사사장 등에게 쌍벌죄를 적용할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고 손실에 대한 배상차원에서 재산을 몰수하는 법안을 발의함으로써, 재임시 포퓰리즘...
    By다산제자 Reply4 Views10965 Votes2
    Read More
  6. 사회복지사업법을 가칭 "사회적 약자의 인권보장과 복지증진을 위한 법률"로 개칭 개정토록

    현행 '사회복지사업법'은 명칭이 주는 뉘앙스가 마치 사회복지법인에서 사업=장사?한다는 이미지를 줄 수 있고, 전남 신안군 장애인복지시설에서 장애인들을 정신교육시킨다고 개집에다 감금했다는 보도가 나가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다. 오래전 부산에서도 "형...
    By다산제자 Reply0 Views7660 Votes0
    Read More
  7. 헌법 개정, 2016년도가 적기이다

    "유능한 대통령에게 5년은 짧고, 무능한 대통령에게는 길다"는 모당 모대표의 발언처럼, 현행 헌법의 대통령제(*제왕적 대통령제)는 금년도 세월호 사건에서 민낯을 드러냈다. 어느 누가 책임질 자도 없고 대통령도 얼버무리는 등 말이 아니다. 차기 대통령의 ...
    By다산제자 Reply1 Views10817 Votes0
    Read More
  8. 주택문제, 이렇게 풀어보자

    *1980년 1월, 당시 부산에서 전세보증금 1백만원의 단칸 방에서 신혼살림을 꾸려, 무주택자로서 오랜 설움을 딛고 결혼 15년차에 지은 지 10년 되는 85평방미터이하 규모의 빌라를 구입하여 무주택 설움을 떨칠 수 있었다. 1. 대통령을 위시한 정책당국의 강한...
    By다산제자 Reply1 Views8136 Votes1
    Read More
  9. 서울 국회의원들 힘모아 구룡마을 개발 해법 제시해 줘야 한다

    재개발사업은 시행자와 조합과의 협의하에 진행되는데 업자는 보상비 부담이 커서 분양단가를 올리려 할 것이고 소규모의 택지 소유권자는 입주하고 싶어도 자부담이 월등히 많아 서민들로서는 그림의 떡인 셈이다 서울 도심의 구룡마을은 주로 무허가건물이 ...
    By다산제자 Reply1 Views7618 Votes0
    Read More
  10. 국회의원 세비 반납

    입법부의 업무를 포기하고 법안처리를 몇개월간 하지않은 국회의원들의 세비는 무노동 무임금의 원칙에 따라 반납되어야 한다. 때뭇지 않고 참신한 안철수의원께서 앞장서 시범을 보여주시면 대다수 국민의 지지가 있을 것입니다
    By지니하비 Reply2 Views10742 Votes4
    Read More
  11. 정기국회 대비 보건복지위 소관 정책질의사항(1)

    1. 기초연금제도 시행에 따른 지자체 부담분 안정적 확보방안은? 2. 행려환자의 숫자와 수용(입원)실태와 문제점 및 대책? 3. 성매매여성의 사회복귀시설 운영실태와 문제점 및 대책? 4. 여성센터의 숫자와 운영실태? 5. 다문화여성의 10년간 이혼, 자살자 숫...
    By다산제자 Reply1 Views7258 Votes0
    Read More
  12. 교육감의 직권남용을 경계해야 한다

    광역시.도의 교육 수장은 공직선거법에 의하여 주민이 직접 선출한다. 경기도 교육감이 학생들 등교시간을 09:00로 밀어부쳤다는 보도다 학부모들 중에는 맞벌이 부부가 많다고 하는데 초등 저학년 아동의 경우에는 등교시켜놓고 출근하는 것이 마음이 놓일 것...
    By다산제자 Reply5 Views7768 Votes0
    Read More
  13. 통일세가 없이 남북한 통일을 이루는 방법

    통일은 남한주민에게 적어도 단기적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주기 때문에 통일을 차라리 하지 않는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런분들은 독일이 통일후 상당기간동안 경기침체를 겪은것을 예로 듭니다. 오스트리아 경제학을 공부한 사람으로서, ...
    ByEddy Reply1 Views13202 Votes1
    Read More
  14. 전략과 전술 - 차기 야권 행보의 길을 묻다

    이번 대선 패배는... 우리 (진보)에게 큰 '상처'를 주었습니다. 하지만, 상대가 받아든 건 '허울좋은 미명'뿐 입니다. 우리는 반드시, 그렇게 만들 것입니다. 민주당후보가 나선 이번 대선은, 사실 이미 패배가 예견된 것이었습니다. 선거의 여왕 박근혜후보는...
    By데이즈 Reply2 Views7524 Votes0
    Read More
  15. 국민이 피부로 느낄수 있는 법안을 제안하시고 통과에 앞장서 주십시요. (실내 공기질에 대한 법안 제의)

    겨울철에 집에서 또는 사무실에서 창문을 (자주) 열지 못하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아주 나쁘고, 이로 인해서 알레르기성 기관지염, 감기전염등이 흔히 발생합니다. 국민건강에 아주 안좋습니다. 이로 인해서 의료비부담도 증가하고요. 스웨덴에서는 이문제에 ...
    ByEddy Reply1 Views8590 Votes3
    Read More
  16. 안철수 대표님을 교묘히 죽이려는 친노들

    안녕하십니까? 처음으로 여기에 글을 올리는 글입니다. 여기에 이런 글을 올려도 되는지 모르겠네요. 문제시 지우겠습니다. 저는 합리적 보수의 길을 가고자 그 누구보다 안철수님이 나오기를 바랬고, 드디어 창당까지 하였습니다 친노 민주당과 합당을 했다는...
    By푸른여우 Reply0 Views8822 Votes4
    Read More
  17. 우리나라의 안전사고를 단기적 (3~4년)으로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 - 시장경제적 접근

    우리나라 사람은 법과 원칙을 우습게 압니다. 거리에 널려있는 불법주차, 그리고 이를 단속하지 않는 경찰만 보아도 알수 있습니다. 교통신호를 위반하고 그냥 달리는 차도 많지요. 작년말 파업하였던 철도노조도 마찬가지입니다. 철도를 민간화 하는지 마는지...
    ByEddy Reply0 Views8347 Votes0
    Read More
  18. 재난대비 5분대기조를 운영하여 지휘한다면 ?

    간략하게 적어봅니다. 대형재난구조에 군대처럼 5분대기조를 해경에서 운영하고 헬기로 이동해 직접 선장을 지휘한다면 대형참사는 막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인근 연안은 가능할 것 같고 무선교신만 하고 있는 것 보다는 확실한 현장관리가 될 ...
    By소호천 Reply1 Views8788 Votes4
    Read More
  19. 왜 최저임금제도를 없애야 하는가?

    최저임금제도는 그 이하 임금으로 일하는 자유를 박탈하는데 불과합니다.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는 악법입니다. 국민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서 존재하는 정부가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는데 그 힘을 쓰고 있읍니다. 그리고 최저임금제도는 시장경제의 대한 정부개...
    ByEddy Reply0 Views8099 Votes1
    Read More
  20. 긴급복지지원법 개정시 고려할 사항

    긴급복지지원법은 2005.12.23자 법률 제7739호로 제정되었다 제2조에서 "위기상황"을 규정하고 있는데 1. 주소득자가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에 수용되는 등의 사유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2.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3. 기구구성원으로부터 ...
    By다산제자 Reply4 Views8822 Votes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