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김한길·안철수 기초공천 관련 기자회견문
뉴시스 박세희【서울=뉴시스】정리/박세희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기자회견문
국민 여러분 당원 동지 여러분, 기초공천 폐지는 지난 대선에서 세 후보의 약속이었다. 기초공천이 지역구 의원들과 중앙당의 대표적 기득권이 돼 부정부패와 비리로 얼룩지고 지역을 위해 헌신해야 할 기초단체장과 의원들이 국회의원들의 세포조직이 돼 온갖 행사 선동에 동원되는 폐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선이 끝나고 이 공약의 폐지가 여당의 공식 입장이 됐다. 청와대의 용인 없이 여당이 임의로 대선공약을 파기했다고 믿을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래서 저는 기초선거 공천 폐지 이행 여부를 놓고 약속의 당사자인 박근혜 대통령께 만나서 이 문제를 풀자고 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끝까지 외면하고 회피했다. 저는 대통령의 불통과 독선이 보여주는 권위주의를 심각하게 우려한다. 정치 지도자로서 박근혜 대통령이 생각하는 신뢰와 원칙, 민주적 국정 운영에 대한 기본 인식이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소통을 이야기하면서 유리한 것만 협조를 구하고 불리한 것은 회피하는 태도를 안타깝게 생각한다.
국민 여러분, 대통령은 헌법과 민주주의 체제의 수호자이자 선거의 공정한 관리자다. 그런데 지금 대선 공약 약속 파기로 역사상 유례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한 선거에서 여야가 두 개의 규칙으로 경쟁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그 불공정의 정도가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 차원이 아니라 고속도로와 가시밭길 달리기에 견줄만 한 형국이다. 약속을 지키는 사람들이 불리해지고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참으로 정의롭지 못한 사회, 잘못된 정치 현실이다.
하지만 저와 지도부의 소신과 원칙에도 불구하고 국민과 당원들 간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한다. 약속과 원칙을 지키기 위한 현장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 여당의 반칙을 그냥 둬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타당하다. 사실 이 시점에서 약속을 파기하는 세력들의 성찰을 기대하기란 너무 늦었다. 대통령은 회동을 거부하고 여당은 말을 뒤집는데 무엇을 더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 이런 상황에서 논란이 지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당내 다양한 의견은 존중돼야 하지만 눈앞의 선거를 두고 무한정 논란만 계속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저는 오늘 당 최고위원회 논의를 거쳐 기초선거 공천 폐지에 대해 국민 여러분과 당원들의 뜻을 묻기로 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당원동지 여러분, 새정치민주연합은 당내외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민생을 향한 국민의 바다로 달려가겠다. 약속을 지키고자 하는 진정성과 참뜻을 살펴달라. 정당공천의 폐해를 극복해 정치를 혁신하고 기득권 정치를 바꾸려는 의지를 모아달라. 국민과의 약속을 지켜 정치의 기본을 바로세우고 정치를 개혁해야 한다는 제 원칙과 소신은 추호도 흔들림이 없다. 그러나 국민들과 당원 동지들의 뜻을 물어 그 결과가 나오면 최종적인 결론으로 알고 따르겠다. 그 결과를 가지고 당을 결집시키고 국민과 당원의 뜻에 맞는 길로 가겠다.
설사 그 결과가 제가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고 해도 제 소신과 원칙이 아무리 중요해도 국민과 당원보다 우선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저는 확신한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창당 정신이며 정치의 기본을 바로세우는 약속을 지키는 정치에 대해 국민 여러분과 당원 동지께서는 선거 유불리를 떠나 흔쾌하게 지지해줄 것을 믿는다. 정치를 바로잡고 궁극적으로 정치 혁신과 민생 정치로 가는 길이기 때문이다.
저는 국민과 당원 동지들의 총의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그렇기에 당내 다양한 의견들도 국민과 당원동지의 총의를 중심으로 한 한마음 한뜻으로 결집할 것을 기대한다. 정치를 바꿔보려는 진정성에 대해 국민 여러분, 당원 동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한다. 국민들과 당원 동지들의 현명한 판단을 믿고 기다리겠다.
국민 여러분 당원 동지 여러분, 기초공천 폐지는 지난 대선에서 세 후보의 약속이었다. 기초공천이 지역구 의원들과 중앙당의 대표적 기득권이 돼 부정부패와 비리로 얼룩지고 지역을 위해 헌신해야 할 기초단체장과 의원들이 국회의원들의 세포조직이 돼 온갖 행사 선동에 동원되는 폐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선이 끝나고 이 공약의 폐지가 여당의 공식 입장이 됐다. 청와대의 용인 없이 여당이 임의로 대선공약을 파기했다고 믿을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래서 저는 기초선거 공천 폐지 이행 여부를 놓고 약속의 당사자인 박근혜 대통령께 만나서 이 문제를 풀자고 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끝까지 외면하고 회피했다. 저는 대통령의 불통과 독선이 보여주는 권위주의를 심각하게 우려한다. 정치 지도자로서 박근혜 대통령이 생각하는 신뢰와 원칙, 민주적 국정 운영에 대한 기본 인식이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소통을 이야기하면서 유리한 것만 협조를 구하고 불리한 것은 회피하는 태도를 안타깝게 생각한다.
국민 여러분, 대통령은 헌법과 민주주의 체제의 수호자이자 선거의 공정한 관리자다. 그런데 지금 대선 공약 약속 파기로 역사상 유례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한 선거에서 여야가 두 개의 규칙으로 경쟁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그 불공정의 정도가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 차원이 아니라 고속도로와 가시밭길 달리기에 견줄만 한 형국이다. 약속을 지키는 사람들이 불리해지고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참으로 정의롭지 못한 사회, 잘못된 정치 현실이다.
하지만 저와 지도부의 소신과 원칙에도 불구하고 국민과 당원들 간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한다. 약속과 원칙을 지키기 위한 현장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 여당의 반칙을 그냥 둬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타당하다. 사실 이 시점에서 약속을 파기하는 세력들의 성찰을 기대하기란 너무 늦었다. 대통령은 회동을 거부하고 여당은 말을 뒤집는데 무엇을 더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 이런 상황에서 논란이 지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당내 다양한 의견은 존중돼야 하지만 눈앞의 선거를 두고 무한정 논란만 계속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저는 오늘 당 최고위원회 논의를 거쳐 기초선거 공천 폐지에 대해 국민 여러분과 당원들의 뜻을 묻기로 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당원동지 여러분, 새정치민주연합은 당내외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민생을 향한 국민의 바다로 달려가겠다. 약속을 지키고자 하는 진정성과 참뜻을 살펴달라. 정당공천의 폐해를 극복해 정치를 혁신하고 기득권 정치를 바꾸려는 의지를 모아달라. 국민과의 약속을 지켜 정치의 기본을 바로세우고 정치를 개혁해야 한다는 제 원칙과 소신은 추호도 흔들림이 없다. 그러나 국민들과 당원 동지들의 뜻을 물어 그 결과가 나오면 최종적인 결론으로 알고 따르겠다. 그 결과를 가지고 당을 결집시키고 국민과 당원의 뜻에 맞는 길로 가겠다.
설사 그 결과가 제가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고 해도 제 소신과 원칙이 아무리 중요해도 국민과 당원보다 우선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저는 확신한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창당 정신이며 정치의 기본을 바로세우는 약속을 지키는 정치에 대해 국민 여러분과 당원 동지께서는 선거 유불리를 떠나 흔쾌하게 지지해줄 것을 믿는다. 정치를 바로잡고 궁극적으로 정치 혁신과 민생 정치로 가는 길이기 때문이다.
저는 국민과 당원 동지들의 총의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그렇기에 당내 다양한 의견들도 국민과 당원동지의 총의를 중심으로 한 한마음 한뜻으로 결집할 것을 기대한다. 정치를 바꿔보려는 진정성에 대해 국민 여러분, 당원 동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한다. 국민들과 당원 동지들의 현명한 판단을 믿고 기다리겠다.
삭제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