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표 스스로 신당은 자신의 정치적 승부수라고 했습니다.
무공천에서는 1보 후퇴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더 이상의 후퇴는 차마 보기 싫습니다.
선대위에 정세균 위원은 무공천은 향후 선거에서 다시 재연되어서는 안된다고 다소 거북한 말을 했습니다.
문재인 위원은 선거 전략이 결정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정권을 심판하자고 일방적으로 말했습니다.
더 이상의 분열은 안대표에게나 새정치연합에 도움이 되지 않지만, 구 민주당 인사가 안대표을 당대표로
인정하고 있는지 향후에도 인정할 것인지 의구심이 드는 장면이 연출되고 있습니다.
선거에 승리하면 공천을 일등공신으로 삼아 안대표를 공격할 것이고
패배하면 패배 책임론을 제기할 가능성을 배재하기 어렵습니다.
안대표와 구 민주계의 화학적 결합은 가능할 것인가? 결합이 어렵다면 공존이나 적어도 병행하려 할까요?
기우이기를 바라지만 아마도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안대표의 수평적 리더쉽과 다원적 사고 때문입니다. 이는 안대표를 지지하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반대하는 이유도 됩니다.
그런데, 구 민주계 인사와 소위 친노 진영은 수직적 리더쉽과 획일적 사고에 익숙한 분들입니다.
전자는 보스정치에 의존했던 분들이고, 후자는 일생을 이념 정치에 매진했고 그것이 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죠.
현 정치권이 안대표을 두려워 하면서 공격하는 논리가 자신들과는 다른 리더쉽과 논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해할 수도 없고 용인할 수도 없는 것입니다.
아마도 지방선거의 결과에 관계없이 새누리와 구민주당 주류는 안대표의 대표성을 부정하려 할 것입니다.
비록 당대표직이 실권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수평적 리더쉽이 정치라는 장에서 어떤게 발현될 수 있는지.
또 다원적 사고로 정치 현안을 어떻게 풀어나갈 수 있는지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하나 통합의 변에서 언급하였듯이 현 국회의원 중에도 성실하게 정치를 하시는 분도 상당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이 자신들의 정치를 펼칠 수 있기 위해서는 안대표가 대표직을 유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안대표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우리 사회는 수직적 리디쉽이 지배하고 있기 있기 때문에
안대표가 대표직을 보존하여야 새정치를 할 수 있는 기회도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단순한 기우이기를 바라지만, 우려스럽고 안사모가 현 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해 보았으면 합니다.
단순한 승패보다는 안대표의 지지 성향이 어떻게 발현되는가가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안대표님 으로 인하여 변화와 정치권의 혁신까지 도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만일 구민주당 인사가 대표가 된다면 아마 많은 사람들이 실망하고 ,저부터 실망이 클것입니다 그리고 새정치연합의 의미가 없어진다고 봄니다 모든 불신을 새삭히고 당이화홥 하여 한목소리 를 내고 오직 국민을 위하여 일만 한다면 예전의 명예를 되찿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한번 불신이 얼마나 큰지 ...
국민들이 새정치민주연합 을 알아줄때 까지 한곳을 바라 보기를 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