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모두의 광장은 자유게시판입니다.
* '게시판 기본 운영원칙(통신예절 등)'을 준수해 주시고 일부 인용이 아닌 통 기사(전체 퍼온 뉴스)는 모두의 광장에 올리지 말아주세요.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 배에 대해선 잘  모른다..그렇는데 배를 타고 부산에서 제주도 왕복을 95년도에 한  번 가 봤고

그리고 통영에서 근처 섬  지역의 등산을  할  시  배를  대여섯  번 정도 타 본  경험이 있다..

근데  저기 다니는 배가 국내  화물선  큰  배 하고 차이가 많이 나는 질  모르겠다만

제가  그  당시 갈  적에 꽤 많은 사람들이 같이 타고 간  걸로 여겨진다..

대략 400여 명  이상 통영 배의  경우 선장들하고  배  운항을 우연히 봤는데

혼자 운행을  하는게 아니고, 내가  본  경우론 선장 좌우에  한 명씩 같이 서서 배  운항이 되는  게

특징이라면 특징이랄까..배란 게 혼자서 운행이 안  되고 서로  간에 보조를 취하면서  운행되는  게

아닌가  하는  것이 제가  본  느낌이었다..우리가 본  배는 안전이라기  보단 바다 물결에 맞춰

선장이  핸들을 쥐는  것 같은데,바닷물이랑 배의 무게 그리고 배  안의 화물이랑 사람  무게

이  모든것에  맞춰서 달리는게  움직이는  자의 책임이  아닐까..

 

가령  육지의 경우도 제일 큰  차량이 컨테이너인데  이 차량  역시  억지로 물건을 많이  싣고  안전을

넘어서면  상당히 위험하다..꼭 큰  사고가 나야 안전에  대한 예방을 배운다..이건  어찌보면

유비무환의  자세에 상당히  미숙된  자의  자세라고 여겨진다..

앞으로의 시대엔 사람들이  오래  살려고  해도 재해로 인한  사고로 많은 인명  피해가 많이들

걱정된다..정부란게  뭔냐??재해 사각지대에  있는  것을 발굴해서 사전에 예방을 하는  게

정부가 해야  할 일이 아닌지..특히 재해를 다루고 있는  사람들의 건의를 바로 들을  줄  아는

현실인이  돼야  되질 않을까..

이번 배 사고  역시 안전  불감증이 상당히 많다고들  보도가  나옵니다..

배  개조랑  배  내의 안전  대처  방법,위험시 사고  현장에서의 방어력 , 이  모든 게 돼  있는 데도  아무것도

제대로  한  번 써  보지도 못하고 재해로 끝난 사고,물론 아직 정확한 결론은 나질 않았지만

과중한  무게에  배 내에 장착돼 있는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이라던가

그리고  사전 점검 이  모든  게 부족들  했기에 큰  사고가 일어난게 아닌가 하는게  조심스러운  판단이

됩니다.

 

이번  기회에  알아볼게 있네요..전국의 모든 육로로 달리는 컨테이너  차량들...

아직도 옛날같이  받침 꽂이가 "길이 10여센티 지름2센티"  가량의  앞뒷  네곳에만 있는죠~

제가 보기엔  저  받침  꽂이가 적어도 "길이가 60센티  이상에  원형 일명 지름이 15센티" 이상은 기본이고,

컨테이너 화물이  큰  것의 경우는 앞  뒷  네개가  아닌 최소  한도로  6개 이상은 돼야 육로의 컨테이너가

안전하다고 느껴집니다..큰 공장의 컨테이너 화물을 지게차가 꾹  집어서 올리는 현장을 보세요..

짤막한 쇠 길이에 지름이  성인의 손가락  만한 굴기의 그런 쇠로서 그것도  겨우 앞뒤  좌우 네곳에 달랑 있어요..

그것도 제대로 고정  시키는 대못  만한 크기의 쇠꽂이가  있는데,이것마저도 귀찮아서 아예  안  하고

고속도로로  달리는  차량이 허다해요..

과거 제가  10여 년  전 회사의 차량은 거랬는데,그ㅡ 이  후 차량 개조가 됐는질  모르겠다만

저가 아는 바에  의하면 옛날이나  지금이나 똑같지  않나 하는게  저의 조심스런  판단  입니다..

꼭  대형  사고가 나야 법이  바뀌고 사회가 바뀌기 전에.. 먼저 정리정돈을 가지런히 하는  게

국민의 새  정치요 새  모습이  아닐련지...

?
  • ?
    다산제자 2014.04.19 23:00
    부산도 가끔씩 컨테이너 차량이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빈 것은 어찌나 요란하든지 . . .
  • ?
    삼광교 2014.04.19 23:14
    차량하고 컨테이너 하고 같이 넘어지면 운전사 부주위 및 과부하 현상으로 일어난 사고로 보입니다만..
    컨테이너만 그대로 땅바닥에 떨어질 가는성이 굉장히 많아요..이유가 뭔지 아십니까??
    말 그대로 고정 볼트가 손가락 크기만하다 이거죠..작은마한 컨테이너는 그렇다 치더라도 큰 컨테이너 저게 굉장히
    위험 투성이에요..앞뒤 좌우 달랑 네갯만 있을 경우 위험성이 아니라 말 그대로 화약곱니다..
    이번 저 화물선 역시 컨테이너 하고 관련성이 꽤나 있어보여요~
  • ?
    다산제자 2014.04.19 23:30
    화물 고정 체인을 4곳에 걸어야 하는데 2곳만 걸었다는 선원진술이 나왔답니다.
  • ?
    삼광교 2014.04.19 23:49

    지금 우리나라 컨테이너 화물을 설령 네곳에 다 꽂아도 위험합니다..왜냐고요??컨테이너 덩치가 얼마나 크냐고요..
    지금 화물차에 있는 컨테이너들 전부다 개조 다 해야 된다고 봅니다..왜!! 안 하는 줄 아세요..
    지게차로서 보통 밑바닥을 맞추는데,저게 맞추자니 시간도 많이 걸리고 해서,그래서 짤막한 손가락만한 쇠부위를
    형시적으로 겨우 걸릴듯 말듯 거래요..그리고 마지막 컨테이너 기사가 물건 내릴적에 귀찮으니까

    앞 부위 아니면 뒷부위만 형식적으로 보통 걸칩니다..

    우리나라 컨테이너 총체적 부실이라고 봐요..물론 배 내부는  육지와 좀  다르겠지만,만약 배도 육지의
    컨테이너와 구조가 똑 같으면 재수 없으면 저것은 넘어질 가능성이 굉장히 많아요..

  • ?
    다산제자 2014.04.20 11:45
    녜, 안전핀과 장치를 기준에 맞게 해야 하겠지요. 식품안전과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규제는 엄격히 적용되어져야 합니다
  • profile
    GO김민회 2014.04.20 22:31
    '정리정돈'이라는 용어에 대한 정리를 보니, '문제가 되거나 불필요한 것은 줄이거나 없앤후, 다시 가지런히 하고 새것을 들인다' .. 예를 들어, 이제 봄이 찾아왔으니 청소를 할때, 3개월 6개월 이상 쓰지 않고 쌓아둔 것들은 보관할 것은 창고로, 버릴 것은 과감하게 버리고, 비운 공간에는 그냥 깨끗한 상태로 놓아두거나 새로운 것을 들이고 맞이하는데 활용하면 정리정돈이라는 말에 대한 실천이 되지 않을까~^^ 자꾸 물건이 쌓이면 새것과 헌것을 구분할 수도 없고, 활용공간이 줄어든다는 단점을 줄여보는 봄청소!!!

    근데 아쉽게도.. 저도 그렇지만, 저보다 어른분들은 쓰지 않을 것들도, 활용을 줄어든 것들도 버리는 것은 다 '돈'이라는 생각이 크기에, 정리정돈이 쉬운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버려서 발생하는 현실적인 '바로' 비용과 정리정돈해서 얻게된 '나중' 이득에 대한 데이터를 눈으로 볼 수 있게 제도적으로 제시되어진다면 그 제도로 인한 깨달음이 커져 많은 사람들은 생각이 바꿀 것이고, '정리정돈'이라는 뜻을 실천하는 모습들이 많아질 것입니다.
    (^^)
  • ?
    삼광교 2014.04.20 23:08

    그런데 우리 일상 생활상에서 재활용이라는 말들을 많이 들어봤을 거예요..
    즉 폐품형의 제품들 말 입니다..
    저 재활용도 그대로 다 사용하는 게 아니라 부품전체를 분해 후 다시 그 내용물을 점검 후 가능성이 있을 경우,
    보통 재활용에 쓰는데요..우리 사회가 아끼자!아끼자!가 겨우 겨우 위기를 넘겨가는 인생 경험에서 무조건 아껴라 왜!
    버리느냐??이렇게 말씀을 간혹 하는데,

     

    즉 우리 인체에 확실히 지장을 주지 않은 것이라고 확실한 것은 아낄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

    근성적으로 무조건 아껴라 하는 하나의 습관적인, 이런 것은 나중에 사회 생활에서 저런 상황이 올 가능성이
    괭장히 짙다고 봐 집니다.,우리나라가 외환위기 이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사는 삶이 부분적으로 있다보니 오늘날 이런 사고도 있질 않았나 하는 게 저의 견해 입니다..

    배의 경우를 보세요..각자의 맡은 업무가 다 돼 있잖아요..
    준비 관계,선원들의 수칙,그리고 해양 업무과의 전달관계 저 모든게 만약의 위험시 다 안전을 위하겠금 돼 있는 데도
    너무 근성적으로 대하다 보니,어찌보면 총체적 결함들이 이 모든 분들의 희생을 앗아간 사고라고 봐야죠..
    이것은 제가 보건데 국가 시스템의 문제도 있고 해양 말로만 해양!해양!

    그런 근성에 의한 하나의 개오라고  봐야겠단 느낌이 듭니다..

    특히 사회의 기성 세대들 못된 근성들 상당히 많아요..
    이번 기회 때 뮛이 상대를 어렵게 하는지 다시 한 번 더 더듬어 볼 필요성이 많다고 봐 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조회 수 최종 글 글쓴이
공지 게시판 기본 운영원칙 (통신예절 등) 36 50 443651 2018.01.03(by 지원맘이현희) title: 햇님관리자
오름 제발 끝까지 갔으면.. 2 102855   힘내세요
오름 2021 NEW안 철수 국민오뚝이: 박영선 양자대결이면, 안 철수 필승! + 2022 NEW윤 석열 필승! 2 2 216948 2022.01.10(by 비회원(guest)) 화이부동
오름 바라옵건데~~~~ 2 235272   엔젤로즈
오름 국민바보 안철수 3 242902   엔젤로즈
오름 님의 정부에서 남의 정부로! 문재인정부의 애매모호한 정체성+ 3 갑질 마인드... 2 235748   화이부동
10386 이번 사고의 부분적인 대책~ 2 2 5091 2014.04.21(by 삼광교) 삼광교
10385 3항사를 너무 매도하지 말아 주셨으면 . . . 7 3 6933 2014.06.12(by 다산제자) 다산제자
10384 사이비 종교 집단인가.... 15 15 12947 2014.04.23(by 심우도) 나수사
10383 배가 접안하기 전에 출구로 몰리는 사람들 2 5137   다산제자
10382 안녕히 주무셔요^^ 1 3 6293 2014.04.20(by 나수사) 홍시공
10381 제가 안철수 의원 님을 지지하는 이유 2 5 5827 2014.04.22(by Bluewish) 흑묘
10380 세월호 선박직원 전원탈출성공!!! 6 3 4538 2014.04.20(by 소피스트) title: 나비소피스트
10379 외국 여객선의 안전, 사고 대비 사례 영상. 9 file 7 10518 2014.04.22(by 고래62) 깍꿀로
10378 타산지석!!! 1 2 4405 2014.04.20(by 나수사) 퇴직교사
10377 그물망 설치 ..... ㅜㅜ 6 1 6120 2014.04.22(by 나수사) title: Hi발톱
» 배가 위험하다는 걸 이제서야 아시려나~ 7 3 5088 2014.04.20(by 삼광교) 삼광교
10375 영화 "타이타닉'이 주는 교훈 1 5903   다산제자
10374 이상한데요? 2 4635   포치블루
10373 안사모 운영자님 센스 있으시다 2 1 4798 2014.04.23(by 포치블루) 포치블루
10372 아무리 시국이 어수선하지만 여긴 안사모 아닌가요? 1 4772   포치블루
10371 박대통령님께 올립니다. 1 0 5036 2014.04.19(by 메리골드) 사랑의새마음
10370 박대통령님께 [홍가혜 민간잠수부 인터뷰 "안에 학생 살아있는데 지원 안돼"] 0 4984   사랑의새마음
10369 박근혜 대통령께... 5 5990   title: 태극기미개인
10368 어떡하니 어떡하니 !!! (3) 5 8 7412 2014.04.18(by 다산제자) 약수거사
10367 어떡하니 어떡하니 !!! (2) 3 7316   약수거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638 Next
/ 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