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담배값을 올려 흡연률을 줄이는 정책을계획하는 정부입장
2.담배가격 인상보다는 담배내용물의 유해성분(우레탄,페놀,니코틴등)을 공개해
흡연자들에게 금연을 유도하는 안대표님의 금연입법정책
어떤정책이 더욱 효율적일까요?
1.담배값을 올려 흡연률을 줄이는 정책을계획하는 정부입장
2.담배가격 인상보다는 담배내용물의 유해성분(우레탄,페놀,니코틴등)을 공개해
흡연자들에게 금연을 유도하는 안대표님의 금연입법정책
어떤정책이 더욱 효율적일까요?
즐거운일님의 최근 작성글 | |
어제 JTBC에서 방송한 새정치당대표 토론을보고 느낀점... | 2015-02-03 23:42 |
나쁜 예감은 틀리지를 않네요 | 2015-01-05 14:28 |
박영선 원내대표님에게 부탁드립니다. | 2014-08-02 21:15 |
세월호참사를 교통사고에 비유한망언 | 2014-07-25 09:46 |
지금은 뭉쳐야 할때입니다 | 2014-07-17 10:28 |
그게 아니라면 최소한의 흡연자들의 불만으로 최대한의 증세효과를 거두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겠지요.
금연인구를 왕창 늘리는 차원이라면 차라리 담배값을 팔천원이나 만원정도로
인상을 해 버리면 되겠지요.
그렇다면 처음엔 불만들이 많겠지만 금연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날 것은 분명합니다.
(물론 이렇게 되면 정부입장에서는 담배세금이 많이 감소할수 있는 점을 참조해야 겠지요.)
그러나 오백원단위나 천원정도로 인상해서는 금연인구수 증가에 별다른 차이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신 흡연자들의 담배값 인상에 대한 불만은 최소화 할수 있겠습니다.)
결국엔 정부입장에선 담배값도 적당히 불만없이 올리고 세금도 만족스럽게 거둘수 있다면 최선책이겠지요.
담배의 유해성분을 상세하게 표시해서 금연인구를 늘리는 방법도 좋은아이디어라고 봅니다.
msg논란을 계기로 소비자들이 식품첨가물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졌듯이 아무래도 담배성분이 제대로
표시가 되면 흡연자들도 관심을 가지고 읽어보게 되고 유해성분에 대하여 지속적인 정보교환으로
금연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마인드로 접근할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