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말씀에 "잔칫집 가는 것보다 초상집 가는 것이 낫다"고 했습니다.
유승민의원의 부친상에 대통령이 옹졸하게도 `조화`를 보내지 않았단다.
관혼상제 의례는 우리문화의 한부문으로 자리메김해 왔었다. 국가 의전관계는 행정자치부에서 하고 있다.
이에 준하여 청와대에서도 조문의 예를 갖추면 될 것이다.
들리는 말에 의하면 대통령 명의의 조화를 보낼때 직접 결재가 나야 한단다.
대통령 명의의 조화는 개인 박근혜가 아니다. 분명 청와대 예산으로 주문하여 예를 표하는 상징적 의미이다.
미운오리새끼라도 어미는 자기 부리로 새끼의 깃털에 묻는 벌레를 잡아준다.
한술 더 떠서 조원진의원 등 친박 꼭두각시들은 빈소에서도 꼭두각시 춤을 추었단다
어디 할말이 그렇게도 없어서 상주에게 비수를 들이댄단 말인가?
차라리 `대구경제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낙동강 물관리를 어떻게 하면 바람직 할 것인가? 등 얼마든지 주제를 설정할 수 있을텐데도 말이다.
어제(11/10) 국무회의 석상에서 대통령이 또다시 국민심판론을 주창했다. 7개월짜리 장관 임명해 놓고 무슨놈의 경제정책이 이행될 것이라고, `구더기 무섭다고 아예 장담글 생각조차 하지 않은` 대통령이 자신의 표현대로라면 `비정상의 혼` = 정신이 온전치 못한 것이 아닌지 의심가는 대목이다.
물론 자신들이 만든 `국회선진화법`의 자업자득으로 국회에 계류중인 경제관련 법안이 통과되지 않으니 속이 탈 노릇이지만, 그렇더라도 기존 법령과 제도개선으로 정책을 펼쳐갈 수 있다. 극한적 처방으로는 헌법상 "긴급경제명령권"을 발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경제부총리, 교육부총리의 마음이 마치 `나무에 앉은 비둘기의 마음이 콩밭`에 가 있듯이, 정책집행에는 뒷전인데 무슨놈의 정책집행이 제대로 탄력을 받겠는가 말이다. `핑계없는 무덤없다`는 말처럼 대통령이 행정각부 장관직을 청와대 문고리 담당직보다 가볍게 인식하니 국정운영이 제대로 갈 것인가?
`국정교과서 근.현대사` 부문에서도 공교롭게도 아버지의 역사평가에 관한 부문은 현직 대통령의 입장에선 `제척사유`에 해당되어 관여해서는 안된다. 다음 정부에서 다시 짚고 갈 수 있도록 퇴임후에 청원형식을 빌어 되짚어보자고 해야 할 것이다. 속이 아파도 국사편찬과 관련해서는 재임기간중에는 유보시켜야 한다. 그것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돌려놓은 길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