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여다야 구도의 상황에서 국민의당이 승리하려면, 적어도 국민의당이 30% 이상의 지지율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 국민의당은 30%는 커녕 10%대의 저조한 지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회의원 선거는 현실적이고 전략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지, 단순히 어떤 꿈만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닙니다. 다시 말하자면 냉철하게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고, 냉철하게 바라보았을 때 총선에서 국민의당이 승리하기는 어려우므로 지더라도 이기는 길을 찾아야 합니다.
먼저 차기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한다고 해서, 각종 여론기관들이 안철수를 여론조사의 대상에서 제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대선까지도 계속 조사대상에서 포함시킬 것이라고 보고 있고, 총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지지율의 상승 계기가 된다면 국민이 안철수를 대선으로 부르겠지요. 그 때는 불출마 선언을 하였어도 국민의 부름에 의해, 정권 교체를 위해, 여당 심판을 위해 나올 수밖에 없는 명분이 생길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불출마 선언 자체는 국민의당이 안철수의 대선을 위한 사당이라는 논란에서 피할 수 있고, 제3당 창당 이유와 총선 지지 이유를 진정성 있게 국민에게 설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불출마 선언이 없다면 제3당이 안철수의 사당이 아니라는 설명은 믿을 사람은 믿고, 안 믿을 사람은 안 믿는 논란으로 남을 것입니다.
그리고 야권 분열 프레임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시각이라고 말씀하시는데, 이것은 야권 분열이거나 야권 외연 확장이거나라는 말을 드려야겠습니다. 결국은 총선의 결과를 보고 판단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저는 야권 분열이 아니라 야권 외연 확장으로 가기 위해 부산에 출마하라는 의견을 낸 것입니다.
과거 야권이 분열되어도 승리했던 선거는 노태우 시절입니다. 먼저 노태우 시절에는 여당은 군사 독재 진영, 야당은 민주화 진영으로 나뉘어 싸웠기 때문에 야권이 분열되어도 이길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영남, 호남 지역주의로 선거를 이끄는 상황에서는 분열하면 선거에서 이기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이회창과 이인제가 있고, 충청에서 보수 진영이 새누리당, 자민련으로 분열하여 야당이 어부지리를 얻은 선거들도 있고, 관악을의 정동영이 있는 것처럼 수많은 경험들이 있습니다. 그 경험은 과거일 뿐이지만 되새길 필요는 있겠지요.
이러한 점들을 되새겨 볼 때 안철수 의원님이 부산에서 출마를 하신다면, 각종 여론의 스포트라이트는 야권 분열이 아니라 외연 확장이라는 방향으로 눈길을 돌리겠지요. 그리고 부산에서 지지를 얻어나간다는 것은 중도층, 보수층으로의 외연 확장 성격이 강하게 반영될 것이고, 따라서 호남의 민심은 자연히 국민의당으로 향할 것입니다. 이때 호남은 안철수 의원님이 영입하신 일부 신인 정치인들, 호남 현역 의원들, 천정배 박주선 통합신당 세력들이 국민의당이라는 깃발 아래에 호남 민심에 따라 경선한다면, 이것은 필히 호남 석패를 위한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공천권 문제를 둘러싼 당내 갈등 해결 방법이라고 보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러한 흐름을 타고 광주, 전남의 바람이 전북으로, 다시 충청과 수도권으로 북상한다면 적어도 제3당으로서의 입지는 분명히 굳힐 것이라 믿습니다. 후 제1야당이였던 더불어민주당이 총선 후에 혼란에 빠지거나 다시 계파갈등이 시작된다면, 이후 박영선, 정운찬을 다시 재영입 시도해볼 수 있는 좋은 기반이 되겠지요. 지금의 상황은 냉정하게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저는 단순히 회의원 몇 명을 영입하지 못했다고 지지를 포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박영선이 국민의당으로 가지 않은 이유들 때문입니다. 국부 발언 논란, 공천권으로 인한 당내 갈등 같은 악재들 속에서 희망이 희미해져 가기 때문에 정치 자체에 실망하였다는 것입니다. 저와 같은 무당층은 안철수가 지금의 여당과 야당의 대안세력으로서 정치에 희망이 되는 존재라고 확신을 갖게 된다면 선거 때에 분명히 투표하러 나갈 것입니다. 하지만 희망이 없다고 느껴지므로 다시 정치에 회의감을 느끼는 것이지요. 이것은 저와 같은 20대, 정치 무관심층에서 보이는 하나의 성향이고, 국민의당은 분명히 무당층과 중도층의 목소리를 내겠다고 하셨지요. 그렇다면 먼저 희망을 보여주십시오.
그리고 어떤 분께서는 안철수가 정치꾼이 아니기 때문에 시행착오를 이해하여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정치는 냉정합니다. 지금 안철수는 자신의 정치생명을 걸고 제3당 창당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김한길 민주당 과의 통합 때에는 지방선거를 앞두었지만, 이번에는 10여 명의 탈당 현역의원들과 함께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습니다. 그들이 안철수와 국민의당에 어떤 존재이건, 만약 그들의 지역구에서 더불어민주당에게 의석을 다수 빼앗긴다면 안철수 본인만이 아니라 그들의 정치생명도 거의 끝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엄청난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하는데, 다시 복귀하기 쉽지 않을 겁니다. 손학규는 개인이 당을 위해 사지로 나가 낙선하고 정계은퇴를 한 것이고, 정동영은 야권을 분열시켜 여당에 야당 지역구를 주고 정계은퇴를 하였지만 어디까지나 관악을이라는 한 지역구의 문제이니 안철수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즉 복귀하기 어렵습니다.
저도 안철수가 성공하기를 바랍니다. 앞으로 더불어민주당, 새누리당 지지할 생각 전혀 없습니다. 다만 희망을 보고 싶고, 희망이 없다면 정치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겠다는 것 뿐입니다.
대선 불출마도 좋은 선택의 하나로 볼수 있습니다.
안철수의원도 둘중에 하나 선택해야될겁니다.. 당대표냐? 대선이냐?
대선불출마를 선언하면 당대표를 해서 손학규를 데려 올수 있을겁니다.
대신 손학규가 대선주자가 되겠죠....
당을 위한다면 저도 이게 최선이라 봅니다.
그러나 안철수 의원이 대선을 노린다면...... 국민의당의 대표가 될 만한 사람이 없습니다.
이게 문제라고 봐요?
손학규는 대권노리는 사람이고....
김한길은 이미지가
당대표로서 안철수만큼 적합한 인물이 없습니다....
그러면 대선은 다른사람에게 줘야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