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모두의 광장은 자유게시판입니다.
* '게시판 기본 운영원칙(통신예절 등)'을 준수해 주시고 일부 인용이 아닌 통 기사(전체 퍼온 뉴스)는 모두의 광장에 올리지 말아주세요.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제 안철수와 호남 중진들의 회동으로 그동안 지지자들이 가장 걱정해왔던 당의 잡음이 자강론으로 잘 봉합되고 당이 모처럼 일치되고 단결된 모습을 보여 주었다. 또한 리베이트 사건이 전원 무죄로 나오면서  큰 힘이 된것도 사실이다.


이틀후면 당대표도 선출된다. 누가 되던 부진했던 당이 전면적으로 쇄신할수 있는 절호의 찬스다.

역시 강철수의 정도를 지킨 자강론이 옳았다. 조급했던 연대론 대세의 명분이 빛을 잃었다는 분석이다.


어제 반기문이 돌아오면서 대선판은 안철수, 문재인, 반기문으로 3자 구도로 갈것이 분명해졌다.

1월 13일자 나온 갤럽 여론 조사를 보면 안의원은 지지율차이가 많이 떨어지는 3위이다.


먼저 진보층 표를 보면 현재 최고조의  문재인과 최저의 안철수 표는 어느 정도 설정이 되어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여기에 반기문으로 움직일 표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오직 변수는 호남표가 안철수로의 이동만 남아있다는 유리한 상항이라는 것이다.

청년층 역시 촛불민심이 왜곡된 탄핵 발의로 잠시 잃어 버렸지만 이제 부터  충분히 회복할 수있다고 본다. 문제는 국민전체의 60%를 차지하는 중도 진보, 중도 보수층표가 안철수와 반기문에 상당히 겹치는 등락현상이다. 


결국 답은 지금부터 반기문과 진검 승부를 할수 밖에 없는 상항이다.

제3지대에서 만나던 경선 후보로 만나던 지지층의 선택과 결론을 얻어내야 한다.


이미 검증된 안철수, 이제부터 혹독한 검증을 거쳐야하는 반기문,  귀국 첫일성으로  정권교체가 아닌 정치교체라는 일성으로 실패한 보수도 함께  하겠다는  얄팍한 정치 기질을 드러냈다. 

이사람도 그저 통합이라는 수식어로 개혁과 변화의 정치 컨텐츠는 상당히 부족해 보인다.

무엇보다 유엔의 권고 사항도 무시한채 퇴임 열흘만에 대통령을 해보겠다는 그의 권력 욕망은 일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힘들다. 혹독한 정치 체험없이 단기간에 그를 평가하고 지도자로 선출하기에는 너무 위험하다는 생각도 있다. 총장 시절 업적 평가 역시 외교가에서는 시쿤등하다.

주변 친인척 비리등 개인의 부패 소문들도 신뢰감 상실로 이어진다.

그저 국가의 외교 자문 역할로서  충분하다고 본다.


얼마전 안철수는 결국 문재인과 양자 대결로 갈것이고 이길수 있다고 했다.

그 자신감으로  먼저 반기문을 넘어서야 한다. 그리고 충분히 넘어설수 있다.

우선 작금의 국가 위기를 해결해나가는 충분한 컨텐츠를 제시해야 한다.  구국이라는 명제를 제시하고 전분야에 그 개혁 해법을 만들어 내야 한다. 싱크탱크의 조기 가동도 주문하고 싶다.


이제 시간이 없다. 하지만 지금 반등의 기회와 역전의 호기만 기다리고 있다.

강철수의 용기를 다시한번 믿어보고 싶다.




 


    


  

 




  

?
  • ?
    퇴직교사Best 2017.01.14 09:42
    님 말씀대로 자강론을 밑에 깔고 반과도 전략적 연대도 필요하지요
    반도 스스로를 개혁적 보수라는 프레임으로 가니
    이는 안 의원에게 보내는 시그널로써 매우 우호적인 상황으로 전개 될 것입니다
    이는 호남을 기반으로하는 국민의당 즉 안의원을 무시하고서는 보수로서는 대선에 이기기 힘들다는
    포석 이겠지요 이 논리로 더불당의 문도 호남과 개혁적 보수와와의 양다리 전략을 짤것이고요

    아무튼 지금은 여론전에서. 반과 문의 2강의로 가나
    선거시기는 6, 7월로 볼때 시간은 충분하며
    만약 반의 새로운 부패사슬이 나타나면 다시 안의원과 문의 구도로 전개될 소지도 높습니다

    제 예상인지 모르지만 반은 3년으로 대통령을 마치고 안의원에게 차기를 맡긴다는 틀을 짜고 있을수도 있기에
    본인이 이점을 글로 남겼지만 안의원은 거사에서 승리하면 내각의 중책을 맡아 다음을 맡는 구도도 생각해 봅니다만 ..

    이는 다름아닌 최후의 진검 승부는. 문과의 싸움이 된다는 전제하에서 생각해 본것입니다.
  • ?
    퇴직교사 2017.01.14 09:42
    님 말씀대로 자강론을 밑에 깔고 반과도 전략적 연대도 필요하지요
    반도 스스로를 개혁적 보수라는 프레임으로 가니
    이는 안 의원에게 보내는 시그널로써 매우 우호적인 상황으로 전개 될 것입니다
    이는 호남을 기반으로하는 국민의당 즉 안의원을 무시하고서는 보수로서는 대선에 이기기 힘들다는
    포석 이겠지요 이 논리로 더불당의 문도 호남과 개혁적 보수와와의 양다리 전략을 짤것이고요

    아무튼 지금은 여론전에서. 반과 문의 2강의로 가나
    선거시기는 6, 7월로 볼때 시간은 충분하며
    만약 반의 새로운 부패사슬이 나타나면 다시 안의원과 문의 구도로 전개될 소지도 높습니다

    제 예상인지 모르지만 반은 3년으로 대통령을 마치고 안의원에게 차기를 맡긴다는 틀을 짜고 있을수도 있기에
    본인이 이점을 글로 남겼지만 안의원은 거사에서 승리하면 내각의 중책을 맡아 다음을 맡는 구도도 생각해 봅니다만 ..

    이는 다름아닌 최후의 진검 승부는. 문과의 싸움이 된다는 전제하에서 생각해 본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조회 수 최종 글 글쓴이
공지 게시판 기본 운영원칙 (통신예절 등) 36 50 428586 2018.01.03(by 지원맘이현희) title: 햇님관리자
오름 제발 끝까지 갔으면.. 2 91361   힘내세요
오름 2021 NEW안 철수 국민오뚝이: 박영선 양자대결이면, 안 철수 필승! + 2022 NEW윤 석열 필승! 2 2 197524 2022.01.10(by 비회원(guest)) 화이부동
오름 바라옵건데~~~~ 2 223504   엔젤로즈
오름 국민바보 안철수 3 230585   엔젤로즈
오름 님의 정부에서 남의 정부로! 문재인정부의 애매모호한 정체성+ 3 갑질 마인드... 2 223297   화이부동
12246 JTBC밤샘토론에 김경록대변인 나왔습니다. 1 7189   애국보수안철수
» 자강론으로 당이 봉합되었으니 이제 안철수는 반기문을 넘어서라. 대선 승리의 답이 여기에 있다. 1 9 10021 2017.01.14(by 퇴직교사) 크리스
12244 그알 추적60분 제보번호입니다. 0 7486   애국보수안철수
12243 김형준교수가 KBS뉴스집중나와서 안의원이 반기문과 연대해야한다고 말했네요 0 4775   애국보수안철수
12242 안의원과 국민의당죽이기에 나선 JTBC를 박살냅시다. 3 4 7043 2017.07.03(by 대한민국사랑) 애국보수안철수
12241 안철수의 대선전략 수정해야 0 6676   후광안철수
12240 안철수의 국민의당 장악력이 높아지길 바랍니다. 1 7 11991 2017.07.03(by 너구리0948) 깍꿀로
12239 당선뿐 아니라 재임때를 위해서 늘 대안을 냅니다 2 5214   꾀꼬리
12238 편지... 1 4681   힘내세요
12237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후 마지막으로 인터뷰했다는 글을 올리면서 대안을 제시합니다. 0 7173   꾀꼬리
12236 공약을 보여주심이 어떨른지 1 4323   제생본
12235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1 5615   쟈니스타
12234 뭐가 어찌되었건, 대한민국 정화의 기회로 삼아야 0 4774   회원101
12233 앞으로의 정국을 생각하며.. 2 4751   산책
12232 국민바보 안철수와 1.15 1 5 10751 2017.01.07(by 화이부동) 화이부동
12231 멋있는 갈라서기를 연출할 정치력이 필요하다 0 6769   후광안철수
12230 안님의 마지막 기회.... 0 7719   title: 나비푸르른영혼
12229 뿌러질앙정 휘어지지맙시다 1 4713   친구아이가
12228 보이지 않는 본질"""" 5 8 11686 2017.07.03(by 네오콘) 퇴직교사
12227 새해를 맞으며 1 1 5183 2017.01.01(by 화이부동) 회원1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638 Next
/ 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