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칼럼 게시판입니다.
이 곳은 되도록이면 자신의 창작글을 올려주세요. :)
-
인연
10년 전 샌프란시스코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객실 승무원들이 한 차례의 서비스를 마친 후, 일부가 벙커(여객기 안에 있는 승무원들의 휴식처)로 휴식을 취하러 간 시간이었습니다. 서씨는 더 필요한 것이 없는지 객실을 둘러보고 있는데할...
Category자유칼럼 By
OK Reply0 Views6099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가치있는 적)
가치 있는 적이 될 수 있는 자는 화해하면 더 가치 있는 친구가 될 것이다. --오웬 펠담-- 수십억 개의 개성들이 수십억 개의 색깔을 나름대로 멋들어지게 발하면서 아름다운 지구촌을 형성하고 있다. 수십억 개의 다양한 색깔들이 어우러져 환상적인 명품그림...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0 Views6453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노력과 재산)
노력이 적으면 얻는 것도 적다.인간의 재산은 그의 노고에 달렸다. --헤리크-- 헤리크(1591~1694) 영국.목사.시인. 고전 서정시의 정신을 되살렸으며 ,"힘이 있을 때 장미꽃 봉오리를 따 모으세요!"라는 싯구로 유명하다. 1617년 케임브리지대를 졸업하고,1620...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0 Views5778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베풂의 의미)
인생은 얼마나 오래 살았느냐가 아니라 얼마만큼 베풀었느냐에 의해 평가해야 한다. --피터 마샬-- 피터 마샬. 그는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민, 장로교 목사가 되었다. 1947년, 미국 상원 소속 목사로 임명되면서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그의 기도...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0 Views8128 Votes1
Read More
-
울음과 눈물
울음과 눈물떨림과 후들거림을 지나서 오고 있다 몸의 기운을 다 빨아들이며 오고 있다심장과 허파를 가늘게 베며 오고 있다뇌수에서 생각을 지우며 오고 있다- 김기택, 시 '울음' 중에서 -남이 볼세라 몰래 훔치는 눈물이 있습니다.흐느낌에 섞여서 흐르는 눈...
Category에세이 By
OK Reply0 Views4390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온고지신 합시다!)
현재가 과거와 다르길 바란다면 과거를 공부하라. --바뤼흐 스피노자-- 바뤼흐 스피노자(1632~1677)네덜란드 포르투갈계 유대 혈통의 철학자. 스피노자가 쓴 저작의 과학적 태도와 포괄성,철학사적 중요성은 스피노자 사후 오랜 세월동안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0 Views5397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명상과 깨달음)
명상을 통해 내부의 소리를 듣고 밖에 나가 외계를 알아낸다. 두 가지 깨달음은 결국 하나의 원천에서 온 것.삶이란 하나의 전체이다. --도교-- 도교: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오행,복서,무축,창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0 Views8055 Votes0
Read More
-
장미의 계절
장미의 계절두 계절 동안 떠나지 않던 기침이 잦아들 즈음 어느새 봄이 왔다고 세상은 떠들썩했습니다.훌훌 털고 일어나야지, 기운을 차릴 무렵철쭉이 한창이었습니다.그러나 올봄은 하얀 꽃이 유독 눈에 들어왔습니다.흰 철쭉이 며 흐드러진 이팝꽃이 지더니 ...
Category에세이 By
OK Reply0 Views5203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不恥下問)
만나는 사람 모두에게서 무언가를 배울 수 있는 사람이 세상에서 제일 현명하다. --탈무드-- 탈무드:유대교에서 '토세프타'를 포함한 구전 율법 모음과 '미슈나'에 대한 학문적 해설과 주석. 인간 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생기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긴 하지만 어...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2 Views5404 Votes2
Read More
-
아카시아
아카시아누구는 아카시아를 오월의 꽃이라 하고어느 누구는 꽃 숭어리튀밥 같아 군침 도는 배부른 꽃이라 하고가까이 다가서면 진솔하게 손 흔들어 잊혀진 기억을 마중하는 그리움의 꽃이라 하고지루한 5월 한나절달콤한 꿀 냄새 스밀 때마다하얀 숭어리 야금...
Category에세이 By
OK Reply2 Views5101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노력과 완성)
백 명의 환자를 무덤으로 보내야만 유명한 의사가 될 수 있다. 완성의 순간에 도달할 때까지 부단히 노력해야만 한다. --그라시안-- 그라시안(1601~1658) 스페인.철학자.작가. 간결하고 미묘한 언어 속에 과장된 재치를 담아내는 사유양식의 하나인 스페인 콘...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0 Views5063 Votes0
Read More
-
콤플렉스 이겨내기
"저는 코가 작아서 정말 고민인데 어떻게 유머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슬픈 그녀의 코를 보니 납짝코! 잠시 생각하고 이렇게 말해줬다. 앞으로 이렇게 말해 보세요. 제 코가 작아 보이지만 ,사실 작은게 아님니다. 누우면 제 코가 제일 큽니다." 순식간에 그...
Category자유칼럼 By
으름 Reply0 Views4470 Votes1
Read More
-
밥상머리교육
밥상머리교육 얼마 전 수많은 국제 콩쿠르를 석권한20대 천재 바이얼리니스트 조진주씨가전국 순회공연을 했는데 공연 제목을 '전쟁'이라고 붙였습니다. 기자들이 그 이유를 물으니한국사람들이 하루하루를 무한경쟁에 매몰되어다들 너무 바쁘고 피폐해져 있기...
Category에세이 By
OK Reply0 Views4754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개인적인 일이 곧 정치적인 일)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정치적이다. --페트라 켈리-- 페트라 켈리. 독일 녹색당 창당을 이끈 여성 운동가. 세계적인 녹색 영웅으로 손꼽을 만한 그녀는 독일 녹색당 초대 의장을 지냈고, 녹색 잔다르크로 불리던 그녀는 녹색당을 원내 정당으로 만들었고,결...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0 Views7292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진정 가치있는 삶)
물질적이고 동물적인 것만 추구하는 삶처럼 나쁜 것은 없으면, 영혼을 살찌우려는 행위보다 본인 자신과 타인에게 유익한 일은 없다. --톨스토이--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얼굴 좀 반반하고,세 치 혀를 놀리는 데 재능이 있는 것들이 앞장서서 공중파와 종편을...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0 Views5919 Votes0
Read More
-
이별
이별길 위에 두 돌부처 벗고 굶고 마주서서 바람비 눈서리를 맞을 대로 맞을망정평생에 이별을 모르니 그를 부러워 하노라.- 송강 정철의 '이별' -이별이 얼마나 아프고 힘들었으면 길 가에 마주 서 있는 돌부처를 다 부러워했을까요.만나면 언젠가는 헤어지게...
Category에세이 By
OK Reply0 Views5505 Votes0
Read More
-
나를 용서하기
어느날 남편은 지방 업체에 가는 길에 아내에게 같이 가자고 말합니다 따로 둘이 시간을 낼 수 없으니 드라이브겸 다녀왔으면 한 것입니다. 아내는 몸이 힘들어 내키지 않았지만 모처럼 만의 데이트 인지라 마지못해 동행 합니다. 그런데 지방 업체의 일을 끝...
Category자유칼럼 By
으름 Reply0 Views5469 Votes1
Read More
-
하나뿐인 사랑
강원도 시골에 사는 한 노총각과 사랑에 빠진 일본 여성이 있었다. 그녀의 이름은 미야자키 하사미씨 1년이 넘게 수십 통의 편지가 오가고 수차례 비행기로 서로를 만나러 다닌끝에 1997년, 두 사람은 결혼에 골인하게 되었다 자동차 회사에서 사무를 보던 그...
Category자유칼럼 By
으름 Reply1 Views4917 Votes2
Read More
-
오늘의 명언(완벽을 추구하되 집착하진 말자)
완벽함은 목표일 뿐,결과는 오직 불완전함이다. --아이버 커틀러-- 완벽하게 살아야겠다며 피곤하게 사는 사람들을 보게 된다. 그런 사람에게 하는 말이 물이 지나치게 맑으면 고기가 모여들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면 그는 말할 것이다. 아니 ,왜 깨끗한 것이 ...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0 Views8775 Votes0
Read More
-
오늘의 명언(사는 기술은...)
가장 어려운 기술은 살아가는 기술이다. --메이시-- 앤 설리번 메이시(1866~1936) 헬렌 켈러를 가르친 미국인 교사. 본인이 장님이나 다름없는 시각장애인이면서 시력과 청력이 없고 정산적인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사람을 높은 수준으로 교육시켰다. 1886년 보...
Category에세이 By
미개인 Reply2 Views6061 Votes1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