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업시간이 미국·호주·프랑스 등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업시간은 유치원생보다도 오히려 적은 기형적 구조여서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7일 발표한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초등학교 1∼2학년은 40분을 기준으로 매일 4교시 수업을 받고 있다. 대개 오전에 수업이 다 끝난다. 이를 1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업시간은 1년에 560시간(하루 평균 2.93시간)에 불과하다. 반면 호주의 초등학교 1∼2학년 수업시간은 연간 916시간(1일 4.75시간), 미국은 896시간(1일 4.90시간), 프랑스는 864시간(1일 5.50시간)에 달한다. 우리나라와 교육과정이 비슷한 일본의 경우에도 연간 660시간(1일 3.80시간)이다.
특히 유치원 누리과정의 수업시간이 최근 하루 5시간으로 늘어나면서 유치원생이 초등학교 저학년보다 더 많은 수업을 받게 됐다. 초등학교 교육은 이처럼 절대적인 수업시간이 적은 데다 유치원 교육과의 연계도 제대로 안 돼 있어 학생들은 공교육의 시작 단계부터 사교육에 기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초등학교 수업을 내실화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개편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과거 초등학교 저학년 수업 시간을 늘리려 했지만 교사들의 반발 등으로 무산된 바 있다”며 “이번에 누리과정 수업시간이 늘어나면서 초등학교 수업시간도 늘려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현재 수업시수 확대가 가능한지 여부를 다방면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당시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009년 초등학교 1∼2학년 수업을 6교시까지 늘리고 슬기로운생활·바른생활·즐거운생활 등의 과목을 세분화하는 내용의 ‘미래형 교육과정’을 추진한 바 있다.
그러나 교사들의 반발과 예산 문제로 시행이 무산됐다. 당시 교사들은 “고학년보다 수업 진행이 힘든 저학년의 수업시간을 늘리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반발했다. 교육부는 비정규직 교과전담교사를 대폭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관련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결국 포기했다.
유현진 기자 cworange@munhwa.com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7일 발표한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초등학교 1∼2학년은 40분을 기준으로 매일 4교시 수업을 받고 있다. 대개 오전에 수업이 다 끝난다. 이를 1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업시간은 1년에 560시간(하루 평균 2.93시간)에 불과하다. 반면 호주의 초등학교 1∼2학년 수업시간은 연간 916시간(1일 4.75시간), 미국은 896시간(1일 4.90시간), 프랑스는 864시간(1일 5.50시간)에 달한다. 우리나라와 교육과정이 비슷한 일본의 경우에도 연간 660시간(1일 3.80시간)이다.
특히 유치원 누리과정의 수업시간이 최근 하루 5시간으로 늘어나면서 유치원생이 초등학교 저학년보다 더 많은 수업을 받게 됐다. 초등학교 교육은 이처럼 절대적인 수업시간이 적은 데다 유치원 교육과의 연계도 제대로 안 돼 있어 학생들은 공교육의 시작 단계부터 사교육에 기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초등학교 수업을 내실화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개편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과거 초등학교 저학년 수업 시간을 늘리려 했지만 교사들의 반발 등으로 무산된 바 있다”며 “이번에 누리과정 수업시간이 늘어나면서 초등학교 수업시간도 늘려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현재 수업시수 확대가 가능한지 여부를 다방면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당시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009년 초등학교 1∼2학년 수업을 6교시까지 늘리고 슬기로운생활·바른생활·즐거운생활 등의 과목을 세분화하는 내용의 ‘미래형 교육과정’을 추진한 바 있다.
그러나 교사들의 반발과 예산 문제로 시행이 무산됐다. 당시 교사들은 “고학년보다 수업 진행이 힘든 저학년의 수업시간을 늘리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반발했다. 교육부는 비정규직 교과전담교사를 대폭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관련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결국 포기했다.
유현진 기자 cworange@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