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군이 북한 체제가 붕괴할 가능성에 대비해 대응책을 마련한 것으로 드러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북한 체제가 붕괴했을 경우 중국 국경에서의 감시 활동을 강화하고 난민수용소를 설치한다는 내용입니다.
도쿄에서 최명신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중국군이 북한 체제붕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긴급 대응책을 내부 문서로 정리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작성 시기는 지난해 2월 북한이 3차 핵실험을 실시한 직후입니다.
문서는 우선 북한이 외국의 공격을 받아 내부의 정치적 통제력이 무너져 국경 지역의 혼란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국경 지역이 난민과 이탈군인 등 잔존세력의 거점이 될 우려가 큰 만큼 특수부대를 파견해 상황을 파악하고 입국자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난민들의 유입이 시작됐을 경우 국경 주변 각 현에 1,500명 규모의 난민수용소를 설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군부의 중요 인물들이 암살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동시에 '감시소'로 이동시켜 국내 세력과 연대하지 못하도록 감시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중국은 이 문서에서 북한을 직접 명기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북동쪽 이웃', '세습제 주변국'이라고 표현해 누가 봐도 북한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국경 위기를 유발할 요인이 있는 국가로 '보통 국가를 지향하는 국가'라는 표현을 사용해 간접적으로 일본임을 암시했습니다.
문서는 특히 미국이 테러 대책 등의 명목으로 국경을 넘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고, 국경을 봉쇄하거나 사이버 공격을 가해 정보 네트워크를 차단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이처럼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중국군 내부의 검토 상황이 알려지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
그동안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방패 역할을 해왔던 중국이 북한의 체재붕괴 등 정변에 대비한 문건을 작성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북한에는 상당한 충격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YTN 최명신입니다.
중국군이 북한 체제가 붕괴할 가능성에 대비해 대응책을 마련한 것으로 드러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북한 체제가 붕괴했을 경우 중국 국경에서의 감시 활동을 강화하고 난민수용소를 설치한다는 내용입니다.
도쿄에서 최명신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중국군이 북한 체제붕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긴급 대응책을 내부 문서로 정리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작성 시기는 지난해 2월 북한이 3차 핵실험을 실시한 직후입니다.
문서는 우선 북한이 외국의 공격을 받아 내부의 정치적 통제력이 무너져 국경 지역의 혼란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국경 지역이 난민과 이탈군인 등 잔존세력의 거점이 될 우려가 큰 만큼 특수부대를 파견해 상황을 파악하고 입국자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난민들의 유입이 시작됐을 경우 국경 주변 각 현에 1,500명 규모의 난민수용소를 설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군부의 중요 인물들이 암살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동시에 '감시소'로 이동시켜 국내 세력과 연대하지 못하도록 감시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중국은 이 문서에서 북한을 직접 명기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북동쪽 이웃', '세습제 주변국'이라고 표현해 누가 봐도 북한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국경 위기를 유발할 요인이 있는 국가로 '보통 국가를 지향하는 국가'라는 표현을 사용해 간접적으로 일본임을 암시했습니다.
문서는 특히 미국이 테러 대책 등의 명목으로 국경을 넘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고, 국경을 봉쇄하거나 사이버 공격을 가해 정보 네트워크를 차단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이처럼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중국군 내부의 검토 상황이 알려지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
그동안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방패 역할을 해왔던 중국이 북한의 체재붕괴 등 정변에 대비한 문건을 작성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북한에는 상당한 충격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YTN 최명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