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잠이 늘 부족해서 피곤하다는 분들 많으시죠?
수면 부족이 건강에 해롭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인데요, 그렇다면 잠을 많이 자는 건 어떨까요?
잠을 너무 많이 자는 것 역시 건강을 해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김잔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개인 차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성인의 적절한 수면 시간은 하루에 7~8시간입니다.
하지만 한국인들의 실제 수면시간은 이에 훨씬 못 미칩니다.
[인터뷰:이장호]
"보통 하루에 5시간 정도. 중간에 많이 깨죠. 한 3~4번 정도..."
잠을 못 자니 컨디션이 좋을 리 없습니다.
[인터뷰:김인순]
"그런 날은 좀 안 좋죠. 낮에 모든 일과에 지장이 많아요. 멍할 때도 있고..."
만성적으로 잠이 부족하면 면역력과 기억력이 떨어지고, 당뇨 등 만성질환의 위험을 높입니다.
이럴 땐 잠을 실컷 잘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잠을 많이 자는 것은 마냥 좋을까요?
영국의 한 대학에서 성인 130만 명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조기 사망률, 즉 65살이 되기 전에 사망할 위험을 살펴봤는데 그렇지 않았습니다.
하루 6~8시간 자는 사람을 기준으로 6시간 보다 적게 자는 사람은 조기 사망률 위험이 12% 높았고, 9시간 이상 자는 사람은 무려 30%나 높았습니다.
너무 많이 자는 것 역시 건강에 해로웠습니다.
[인터뷰:김진리, 순천향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과도한 수면은 당뇨나 비만의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한 연구에 따르면 관상동맥질환 위험을 38%높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잠을 너무 많이 자는 것이 이같은 만성질환의 위험을 높일 뿐 아니라, 우울증 같은 정신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따라서 이유 없이 수면 패턴이 급격히 변했거나, 너무 못 자거나 반대로 너무 많이 자는 게 2주 이상 계속된다면 병원을 찾는 게 좋습니다.
YTN 김잔디[jandi@ytn.co.kr]입니다.
잠이 늘 부족해서 피곤하다는 분들 많으시죠?
수면 부족이 건강에 해롭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인데요, 그렇다면 잠을 많이 자는 건 어떨까요?
잠을 너무 많이 자는 것 역시 건강을 해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김잔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개인 차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성인의 적절한 수면 시간은 하루에 7~8시간입니다.
하지만 한국인들의 실제 수면시간은 이에 훨씬 못 미칩니다.
[인터뷰:이장호]
"보통 하루에 5시간 정도. 중간에 많이 깨죠. 한 3~4번 정도..."
잠을 못 자니 컨디션이 좋을 리 없습니다.
[인터뷰:김인순]
"그런 날은 좀 안 좋죠. 낮에 모든 일과에 지장이 많아요. 멍할 때도 있고..."
만성적으로 잠이 부족하면 면역력과 기억력이 떨어지고, 당뇨 등 만성질환의 위험을 높입니다.
이럴 땐 잠을 실컷 잘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잠을 많이 자는 것은 마냥 좋을까요?
영국의 한 대학에서 성인 130만 명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조기 사망률, 즉 65살이 되기 전에 사망할 위험을 살펴봤는데 그렇지 않았습니다.
하루 6~8시간 자는 사람을 기준으로 6시간 보다 적게 자는 사람은 조기 사망률 위험이 12% 높았고, 9시간 이상 자는 사람은 무려 30%나 높았습니다.
너무 많이 자는 것 역시 건강에 해로웠습니다.
[인터뷰:김진리, 순천향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과도한 수면은 당뇨나 비만의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한 연구에 따르면 관상동맥질환 위험을 38%높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잠을 너무 많이 자는 것이 이같은 만성질환의 위험을 높일 뿐 아니라, 우울증 같은 정신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따라서 이유 없이 수면 패턴이 급격히 변했거나, 너무 못 자거나 반대로 너무 많이 자는 게 2주 이상 계속된다면 병원을 찾는 게 좋습니다.
YTN 김잔디[jandi@ytn.co.k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