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문화/예술/과학 게시판입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울신문]"현장에 도착해 보니 해경과 해군 모두 '멘붕' 상태나 다름없었습니다. 초유의 사태니 어쩔 줄 몰랐던 거죠."

세월호 실종자 수색 작업과 관련해 민간 구난업체 언딘마린인더스트리(언딘)와 해양경찰청(해경)의 유착설, 특혜 의혹 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언딘과 관련된 의혹이 불거지기 전 해경이 브리핑을 통해 "언딘은 국내 최고의 잠수업체", "언딘의 수색·구조 실력이 해경보다 낫다"는 식의 발언을 거듭한 것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유착설에 불을 지폈다.

↑ 엄마의 마음으로 기도하는 여경

김윤상(47) 언딘 대표는 9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우리도) 해경이 왜 그런 식으로 발표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우린 한번도 나서서 발표한 적이 없다. 자꾸만 이상한 얘기가 나오니까 참으로 답답하다"고 말했다.

의혹은 선박 인양 전문 업체인 언딘이 구조 작업에 참여하면서 비롯됐다. 김 대표는 "처음에는 (뉴스 속보를 보고) 구조가 다 된 줄 알고 인양을 하러 갔던 것"이라면서 "현장에 도착해서야 그게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차량 사고가 나면 '레커차'들이 몰려들듯 선박 사고가 발생하면 구난업체들이 달려가는데 언딘도 그중 하나였다는 것이다. 그는 "현장에 가 보니 해경과 해군 모두 '멘붕' 상태나 다름없었다"면서 "우리가 선사와 구두 (구난) 계약을 하고 왔다니까 해경으로서도 마침 잘됐다고 여긴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16일 현장으로 가는 길에 오후 2시 30분쯤 청해진해운 직원의 전화를 받았고 다음 날(17일) 오후 5시쯤 약식 계약서와 함께 (해경으로부터) 구난명령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선사 직원이 해경에 추천해 달라고 한 것 같다. 그 전에 해경에서 구난이나 구조 요청을 받은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언딘은 일찌감치 인양에서는 손을 뗐다"면서 "구조 작업이 끝나면 인양 입찰 공고가 나겠지만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애초에 (청해진해운과는) 금액도 적혀 있지 않고 보험사 검증도 거치지 않은 반쪽짜리 계약서였는데 협상을 조율해야 하는 해운조합 역시 20일이 넘도록 연락 한번 취해 오지 않았다"면서 "구난 계약에 관심이 없다는 의미로 지난주 실종자 가족들을 찾아뵙고 계약서를 넘겨드렸다"고 말했다. 또한 "무슨 혜택이 있어야 특혜라고 할 수 있는데 기름값이라도 나올지 걱정"이라면서 "민간 잠수부들의 숙식도 사비로 조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구조 작업이 끝난 뒤 인양을 해외 업체가 하게 되면 시간과 비용이 훨씬 많이 들 수밖에 없다. 김 대표는 "구조 작업을 하면서 기록한 현장 정보가 많지만 우리가 인양에 참여하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구조가 끝나면 손을 떼는 것을 원칙으로 정했다"고 말했다.

해경과의 유착 근거로 지목된 한국해양구조협회 부총재직을 맡은 데 대해서는 "국내 구난업체들 대부분이 정직원 10명 넘는 곳이 거의 없을 만큼 영세한데 그나마 우리가 제일 크고 국제구난협회(ISU) 정회원이라는 대표성 때문에 (내가) 들어가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딘이 민간 잠수부들의 공적을 가로챘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김 대표는 "해경이 언딘에서 잘했다는 식으로 발표해 무리수를 뒀는데, 이 때문에 다른 민간 잠수사들이 마음 상한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도 명령에 따를 뿐 다른 잠수사를 막을 권리는 없다"고 덧붙였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추천 수 최종 글 글쓴이
오름 문재인 될까봐 걱정스러워왔어요 1 150990 6 2017.02.02(by 화이부동) seo****
오름 복고주의에 대한 오해로 빚어진 참사 135764 2   笑傲江湖
오름 노후 준비는 '이것' 142803 3   백파
오름 안방에서 얻고 싶은 것...서양과 동양의 차이 139654 3   백파
오름 IMF도 경고한 ‘한국 가계-기업 부채’ 144225 3   백파
2974 국방부 대변인 "北, 빨리 없어져야 돼" 강력 비판 7115 0   title: 태극기OK
2973 6호선 합정역 승강장에 연기…100여명 대피 소동 6522 0   title: 태극기OK
2972 아픔을 느낄 수 있음에 감사하라 6412 0   title: 태극기OK
2971 반기문, 남중국해 긴장 고조에 '평화적 해결' 호소 7979 0   title: 태극기OK
2970 <세월호참사> 선체, 붕괴진행…모두 증축 부분 7144 0   title: 태극기OK
2969 가로수길 건물 붕괴, “우르르 꽝!”… “깜짝이야” 비명! 8008 0   title: 태극기OK
2968 “아기시절 기억 못하는 이유, ‘새 뇌세포’ 때문” <연구> 9209 0   title: 태극기OK
2967 만취한 대학생, 운전기사 폭행하고 택시 탈취 7120 0   title: 태극기OK
2966 '해킹으로 전과목 A+' 연세대 로스쿨생 결국 법정에 7163 0   title: 태극기OK
2965 "정권이 바뀌어도 흔들림 없는 투자를" 7020 0   title: 태극기OK
2964 중국 공군의 비밀병기는 원숭이? 7519 0   title: 태극기OK
2963 <세월호참사> "희생자 잊지 말아주세요"…안산 학생들 촛불문화제 6862 0   title: 태극기OK
2962 조선혁명선언문,의열단선언문 8417 0   title: 태극기미개인
2961 유병언 '세월호 복원성 저하' 사전 보고받은 정황 6461 0   title: 태극기OK
2960 KBS 보도국장 발언 파문.. '세월호 민심'에 속타는 靑 6110 0   title: 태극기OK
» "해경의 거듭된 언딘 칭찬, 우리도 이해 못해" 6601 0   title: 태극기OK
2958 '갈비보다 비싼 금겹살' 돼지·쇠고기 값 비상 7560 0   title: 태극기OK
2957 [과학을 읽다]양·개·풀…셋 중 어울리는 둘은? 7064 0   title: 태극기OK
2956 매일 과일 채소 먹으면 뇌졸중 위험 줄어 7488 0   title: 태극기OK
2955 “태양의 ‘잃어버린 형제별’ 찾았다” <美 연구> 8194 0   title: 태극기OK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72 Next
/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