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신문 나우뉴스]
지난 2012년, 첫 개발된 이후 3D 프린팅 기술이 첨가돼 터치스크린 기능까지 더해진 세계최초 구매자 주문식 ‘점자폰’이 새삼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시각장애인의 스마트 라이프를 풍성하게 도와줄 ‘터치스크린 점자폰’의 자세한 사항과 최근 소식을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운폰(OwnFone)’이라는 이름의 이 점자폰은 영국 런던 기반 동명 개발사가 지난 2012년 출시해 큰 주목을 받았다. 이유는 그동안 무수하게 많은 점자 휴대전화 설계 아이디어 등장했지만 이것이 구체화돼 실질 상품으로 완성된 것은 ‘오운폰’이 유일했기 때문이다.
점자 휴대전화의 상용화가 쉽지 않았던 큰 요인 중 하나는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고 생산비용이 많이 드는데 반해 수요 시장이 넓지 않아 수익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저렴하고 신속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한데 ‘오운폰’이 도입한 것은 바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3D프린팅 기술이다.
생산원가가 절감되었지만 기술은 첨단을 향했다. 회사 연구진은 사용 전, 사용 후 본래 모양으로 회귀가 가능한 ‘형상 기억 합금 기술’을 오운폰에 도입했고 이는 시각장애인이 맞춤 버튼만 클릭하면 특정 연락처가 즉시 전화에 떴다가 다시 사라지는 편리성으로 귀결됐다. 또한 오운폰은 사용자가 스스로 원하는 디자인을 회사 웹 사이트에서 선택해 주문이 가능하며 전자 버튼도 원하는 형태로 설계할 수 있는 ‘DIY’적 특성도 갖추고 있다.
![]() |
뿐만 아니라 오운폰의 점자는 자동으로 연락처, 이름은 변환시키며 시각장애인뿐 아니라 (점자를 읽지 못하는) 약시 또는 노인 사용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계되어져 있다. 이는 오운폰의 시장성이 특정 구매층에만 머무르지 않고 보편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오운폰의 편리성은 실제로 증명됐다. 최근 선천적 시각장애를 앓고 있는 7살 소년 윌이 오운폰을 통해 기존에 할 수 없었던 친구들과의 전화통화, 문자메시지 주고받기 등을 해냈기 때문이다. 윌의 어머니는 “오운폰이 아들에게 사회생활에 있어서 큰 자신감을 심어줬다”고 전했다.
현재 60파운드(약 10만 4천원)에 판매되고 있는 오운폰은 경쟁력있는 시장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영국에서만 구매가 가능하다. 이에 오운폰 설립자인 톰 선더랜드는 오운폰의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킥 스타터(크라우드 펀딩 서비스)’ 캠페인을 시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