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한 번이라도 더 알려야 된다.” vs “시도 때도 없는 전화, 문자메시지 괴롭다.”
6·4 지방선거가 종반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후보자들이 전화와 문자메시지 폭탄을 날리며 선거운동에 나서자 유권자들이 ‘선거 공해’라며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문자메시지는 선거출마자와 유권자 사이에 이해관계가 가장 첨예하게 엇갈리는 부분이다. 출마자들은 조금이라도 더 발송하려 하고, 유권자는 피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경남 김해시 박모(50) 씨는 30일 “지난 28일 회사에서 외부 출장을 위해 운전을 하고 있는데 잘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와 받아보니 전혀 다른 지역의 지방선거 후보의 선거운동원이 자신의 후보를 지지해줄 것을 요구해 불쾌했다”며 “요즘에는 전화뿐 아니라 선거운동원들의 문자메시지도 하루에 10∼20건이 날아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불평했다.
대구 수성구 최모(여·44) 씨도 “잠을 자는 시간인 오후 11시에도 한 후보 측으로부터 지지를 당부하는 문자메시지가 날아오고 있는데 도대체 어떻게 내 전화번호를 알고 선거운동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시도 때도 없이 무작위로 날아오는 선거운동 문자메시지 때문에 되레 해당 후보자에 대한 반감만 생긴다”고 말했다.
선관위에 항의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울산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뒤로 선거운동용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전화 등에 대해 불만을 호소하는 민원 전화가 하루 100통 이상 걸려오고 있다.
이는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선거운동을 목적으로 다량의 전화번호를 수집, 무작위로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당수 후보자들은 세월호 참사 후 거리에서 마음대로 로고송을 틀거나 퍼포먼스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문자메시지나 전화를 많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선거운동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울산지역 기초의원에 출마한 한 후보는 “기초의원의 경우 TV토론회가 있는 것도 아니고 인지도가 높은 것도 아니어서 어떤 식으로든 후보자의 이름을 많이 노출시키기 위해 문자메시지 등을 통한 선거운동을 주로 하고 있다”며 “유권자들도 이런 선거운동을 좀 더 좋은 후보, 훌륭한 후보를 뽑기 위한 과정으로 좀 이해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울산 = 곽시열 기자 sykwak@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6·4 지방선거가 종반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후보자들이 전화와 문자메시지 폭탄을 날리며 선거운동에 나서자 유권자들이 ‘선거 공해’라며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문자메시지는 선거출마자와 유권자 사이에 이해관계가 가장 첨예하게 엇갈리는 부분이다. 출마자들은 조금이라도 더 발송하려 하고, 유권자는 피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경남 김해시 박모(50) 씨는 30일 “지난 28일 회사에서 외부 출장을 위해 운전을 하고 있는데 잘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와 받아보니 전혀 다른 지역의 지방선거 후보의 선거운동원이 자신의 후보를 지지해줄 것을 요구해 불쾌했다”며 “요즘에는 전화뿐 아니라 선거운동원들의 문자메시지도 하루에 10∼20건이 날아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불평했다.
대구 수성구 최모(여·44) 씨도 “잠을 자는 시간인 오후 11시에도 한 후보 측으로부터 지지를 당부하는 문자메시지가 날아오고 있는데 도대체 어떻게 내 전화번호를 알고 선거운동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시도 때도 없이 무작위로 날아오는 선거운동 문자메시지 때문에 되레 해당 후보자에 대한 반감만 생긴다”고 말했다.
선관위에 항의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울산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뒤로 선거운동용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전화 등에 대해 불만을 호소하는 민원 전화가 하루 100통 이상 걸려오고 있다.
이는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선거운동을 목적으로 다량의 전화번호를 수집, 무작위로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당수 후보자들은 세월호 참사 후 거리에서 마음대로 로고송을 틀거나 퍼포먼스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문자메시지나 전화를 많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선거운동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울산지역 기초의원에 출마한 한 후보는 “기초의원의 경우 TV토론회가 있는 것도 아니고 인지도가 높은 것도 아니어서 어떤 식으로든 후보자의 이름을 많이 노출시키기 위해 문자메시지 등을 통한 선거운동을 주로 하고 있다”며 “유권자들도 이런 선거운동을 좀 더 좋은 후보, 훌륭한 후보를 뽑기 위한 과정으로 좀 이해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울산 = 곽시열 기자 sykwak@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