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여러분도 친구가 설명없이 약속어기면 속상하겠죠?"

'발칙한' 질문과 직설적 즉답이 오갔다. 6일 낮, 젊음의 거리로 불리는 서울 홍대 앞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간이의자를 펴고선 '약속토크'를 열었다. 거리를 오고가던 100여명 안팎의 시민이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문제를 놓고 두 공동대표와 이야기를 나눴다.
이 자리에서 손을 든 한 청년은 "작년 재보선에서 민주당은 기초선거 공천을 했다. 새누리당은 하지 않았는데 말이다. 그때는 왜 했고, 지금은 무엇이 다른가?"라고 '돌직구'도 던졌다. 김 대표는 "제가 답하라는 거죠? (질문한 분이) 아주 젊어 보여요"라면서 마이크를 들었다. 그는 "당시 민주당 지도부는 법을 바꾸기 전까진 공천하는 게 맞다고 판단했던 것 같다"면서 "저 같으면 안했다"고 솔직한(?) 답변도 내놨다.
대학생으로 보이는 한 여성은 "공천 폐지를 당론으로 확정했다는데 내부에서 반대 의견이 많이 나온다"면서 "어떻게 '회유'할 것이냐"고 당돌하게 따졌다. 이번에도 김 대표가 "회유가 아니고 설득이겠죠?"라고 고쳐 잡으면서 "우리만 바보처럼 큰 손해를 봐도 되느냐는 말씀을 하시는 분도 있는데 매일 당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 대표는 같은 질문에 "커다란 손해를 감수하면서라도 약속을 지키는 모습에서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면서 "지금 정치는 국민의 신뢰를 잃은 위기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지방선거를 보이콧하자는 당 일각의 의견에 대해선 김 대표가 "지도부 차원의 논의는 없었다"고 일축했다.
두 공동대표를 향해 "국민들은 기초공천 폐지의 가치에 대해 잘 모르겠고 실감하고 있지도 않다"고 한 시민이 발언하자 안 대표는 "당장 국민의 삶과 바로 연결되지 않다 보니 그렇다"면서도 "무공천 문제는 약속을 지키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거리를 나온 시민들을 향해 "여러분도 아마 홍대 앞으로 나오면서 '몇 시에 어디서 보자'는 약속을 하셨을 텐데 상대가 안 나타나고, 나중에 왜 약속을 안 지켰냐고 물어봤는데 그 친구가 아무런 설명을 안하면 속상하겠죠?"라면서 입장 표명을 않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안 대표는 "(박 대통령이) 야당을 국정의 동반자로 생각하고 내일 정도까지는 (회동) 가능 여부를 말해주시길 다시 한 번 부탁드리고 싶다"면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아무런 당직이나 국회직이 없었던 야당의 김상현 의원의 면담 신청을 즉각 받아들인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손을 든 한 청년은 "작년 재보선에서 민주당은 기초선거 공천을 했다. 새누리당은 하지 않았는데 말이다. 그때는 왜 했고, 지금은 무엇이 다른가?"라고 '돌직구'도 던졌다. 김 대표는 "제가 답하라는 거죠? (질문한 분이) 아주 젊어 보여요"라면서 마이크를 들었다. 그는 "당시 민주당 지도부는 법을 바꾸기 전까진 공천하는 게 맞다고 판단했던 것 같다"면서 "저 같으면 안했다"고 솔직한(?) 답변도 내놨다.
대학생으로 보이는 한 여성은 "공천 폐지를 당론으로 확정했다는데 내부에서 반대 의견이 많이 나온다"면서 "어떻게 '회유'할 것이냐"고 당돌하게 따졌다. 이번에도 김 대표가 "회유가 아니고 설득이겠죠?"라고 고쳐 잡으면서 "우리만 바보처럼 큰 손해를 봐도 되느냐는 말씀을 하시는 분도 있는데 매일 당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 대표는 같은 질문에 "커다란 손해를 감수하면서라도 약속을 지키는 모습에서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면서 "지금 정치는 국민의 신뢰를 잃은 위기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지방선거를 보이콧하자는 당 일각의 의견에 대해선 김 대표가 "지도부 차원의 논의는 없었다"고 일축했다.
두 공동대표를 향해 "국민들은 기초공천 폐지의 가치에 대해 잘 모르겠고 실감하고 있지도 않다"고 한 시민이 발언하자 안 대표는 "당장 국민의 삶과 바로 연결되지 않다 보니 그렇다"면서도 "무공천 문제는 약속을 지키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거리를 나온 시민들을 향해 "여러분도 아마 홍대 앞으로 나오면서 '몇 시에 어디서 보자'는 약속을 하셨을 텐데 상대가 안 나타나고, 나중에 왜 약속을 안 지켰냐고 물어봤는데 그 친구가 아무런 설명을 안하면 속상하겠죠?"라면서 입장 표명을 않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안 대표는 "(박 대통령이) 야당을 국정의 동반자로 생각하고 내일 정도까지는 (회동) 가능 여부를 말해주시길 다시 한 번 부탁드리고 싶다"면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아무런 당직이나 국회직이 없었던 야당의 김상현 의원의 면담 신청을 즉각 받아들인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안 대표는 "내일까지 청와대에서 대답이 없으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미리 안될 때를 가정해서 예단할 필요는 없지 않느냐"고 답했다.
김 대표는 "아직 (청와대에서) 아무 답이 없다. 내일까지도 답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 참 걱정"이라면서 "박 대통령도 걱정되고, 반드시 답을 달라고 한 우리도 다음에 어떻게 할지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통의 션한 돌직구답변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