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는 시작도 못해보고 회의론을 대두시키며 구정치로 가자는 주장을 펼쳐대는 무리들은 뭔가?
오늘 안 철수의 정강정책 연설에서도 강조했듯 필사즉생의 각오로 새정치를 펼쳐가야 한다.
왜 국민들의 눈높이는 철저히 배격하고 ,정치꾼들처럼만 굴어 대는가?
국민들은 신선한 새정치를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두렵다고 물러설 생각을 하지 말고 이길 생각을 쥐어짜내야 하지 않겠는가?
시간이 없다!
새정치연합, 기초공천문제로 통합이후 연일 잡음
박형윤기자 manis@sed.co.kr
새정치민주연합이 ‘기초선거 무공천’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김한길·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가 연일 무공천입장을 고수하며 내부의 ‘단일대오’를 주문하고 있지만 쇄신파와 일부 기초의원을 중심으로 재검토를 주장하고 나서면서 갈등의 불씨로 떠올랐다.
김·안 공동대표는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을 재차 표명했다. 김 대표는 “새누리당이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려는 새정치민주연합을 무책임하다고 말하는 것은 참으로 무책임한 집권당의 부끄러운 모습을 그대로 보이는 일”이라며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천금과 같은 국민과 약속을 저버리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밝혔다. 마이크를 이어 받은 안 대표 역시 “(지방선거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새정치민주연합은 약속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김·안 공동대표는 회의 석상에서 기초선거 공천폐지에 대해 ‘눈물을 머금고’ , ‘감내해야 할 고통’ 등의 표현을 통해 소속 의원들과 당내 기초선거 후보자들의 지지를 독려했다.
그러나 갈수록 ‘기초선거 대패론’을 우려하는 내부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신경민 새정치민주연합 상임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에서 “공천, 무공천을 놓고 당 내부에서 치열하게 토론한 뒤 결론이 나오면 그에 따른 대책과 보완책을 신속하게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에 대한 철회 요구를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창호 새정치민주연합 경기지사 예비후보 역시 “당내 기초의원·대의원 60% 이상이 정당공천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며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 철회를 주장했다. 김 후보가 외부 여론조사 기관에 의뢰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기초의원·대의원 3,311명 중 58.7%가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찬성한다는 의견은 36.8%에 그쳤다. 지도부 인사를 비롯해 기초의원·대의원까지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하면서 이를 둘러싼 당내 파열음은 갈수록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일각에서는 기초선거 무공천을 실시하되, 6·4 지방선거 패배에 대한 대책을 사전에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안 공동대표는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을 재차 표명했다. 김 대표는 “새누리당이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려는 새정치민주연합을 무책임하다고 말하는 것은 참으로 무책임한 집권당의 부끄러운 모습을 그대로 보이는 일”이라며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천금과 같은 국민과 약속을 저버리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밝혔다. 마이크를 이어 받은 안 대표 역시 “(지방선거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새정치민주연합은 약속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김·안 공동대표는 회의 석상에서 기초선거 공천폐지에 대해 ‘눈물을 머금고’ , ‘감내해야 할 고통’ 등의 표현을 통해 소속 의원들과 당내 기초선거 후보자들의 지지를 독려했다.
그러나 갈수록 ‘기초선거 대패론’을 우려하는 내부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신경민 새정치민주연합 상임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에서 “공천, 무공천을 놓고 당 내부에서 치열하게 토론한 뒤 결론이 나오면 그에 따른 대책과 보완책을 신속하게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에 대한 철회 요구를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창호 새정치민주연합 경기지사 예비후보 역시 “당내 기초의원·대의원 60% 이상이 정당공천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며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 철회를 주장했다. 김 후보가 외부 여론조사 기관에 의뢰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기초의원·대의원 3,311명 중 58.7%가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찬성한다는 의견은 36.8%에 그쳤다. 지도부 인사를 비롯해 기초의원·대의원까지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하면서 이를 둘러싼 당내 파열음은 갈수록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일각에서는 기초선거 무공천을 실시하되, 6·4 지방선거 패배에 대한 대책을 사전에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