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청래 의원도 나오는대로 말하는 것을 고쳐야하지 않을까?
비교할 걸 갖고 비교를 해야지...
기초선거 무(無)공천을 둘러싼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부 격론이 2일에도 이어졌다.
지도부가 무공천 원칙을 재확인하면서 나름의 무공천 지원책에 대한 고민을 토로했지만 당내 일각에서는 '위화도 회군'까지 거론하며 재검토를 주장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무공천 결정 과정을 다시 설명한 뒤 "지도부가 잘못 판단해서 여기까지 온 것인양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고 '발끈'했다.
이어 "결론은 공천을 다시 하자, 안 하자는 문제가 아니라 그러면 우리가 공천을 안 하기로 했기 때문에 당이 어떤 식으로 기초후보를 지원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무공천론에 쐐기를 박고 대안 마련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안철수 공동대표도 기초후보 지원과 관련, "매일 고민하고 있어서 힘들다"며 고충을 털어놨다.
그러나 상당수 소속 의원들은 선거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전달하면서 무공천 원칙에 관한 재검토를 촉구했다는 후문이다.
한 참석자는 "국민과 약속을 지키는 것은 국민을 위한 것이어야 하는데 무공천이 과연 국민을 위한 것이냐"며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의원들도 "선거가 왜 이렇게 복잡해졌냐", "무공천이 과연 맞느냐"라며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당내 초·재선 의원 22명으로 구성된 혁신모임 '더 좋은 미래'의 간사인 김기식 의원은 이날트위터에 "결과를 알면서 수하 장수들과 병사들을 탈영시켜 사지로 보내는 것이 사령관으로서 옳은 선택인지, 기초무공천이 약속의 정치와 거짓말 정치를 나누는 기준으로 국민이 받아들일지 깊이 고민해주기 바란다"고 적었다.
특히 김 의원은 "'위화도 회군'이 조선 개국으로 이어진 역사를 되짚어 보기를 바란다"면서 무공천 철회를 촉구했다.
그는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두 대표가 이제 개국을 하는데 그동안 나가던 길을 고집스럽게 밀고 나가기보다는 다시 회군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는 취지에서 무공천을 계속 끌고 가는 게 맞느냐는 의문을 제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도부가 무공천 원칙을 재확인하면서 나름의 무공천 지원책에 대한 고민을 토로했지만 당내 일각에서는 '위화도 회군'까지 거론하며 재검토를 주장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무공천 결정 과정을 다시 설명한 뒤 "지도부가 잘못 판단해서 여기까지 온 것인양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고 '발끈'했다.
이어 "결론은 공천을 다시 하자, 안 하자는 문제가 아니라 그러면 우리가 공천을 안 하기로 했기 때문에 당이 어떤 식으로 기초후보를 지원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무공천론에 쐐기를 박고 대안 마련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안철수 공동대표도 기초후보 지원과 관련, "매일 고민하고 있어서 힘들다"며 고충을 털어놨다.
그러나 상당수 소속 의원들은 선거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전달하면서 무공천 원칙에 관한 재검토를 촉구했다는 후문이다.
한 참석자는 "국민과 약속을 지키는 것은 국민을 위한 것이어야 하는데 무공천이 과연 국민을 위한 것이냐"며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의원들도 "선거가 왜 이렇게 복잡해졌냐", "무공천이 과연 맞느냐"라며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당내 초·재선 의원 22명으로 구성된 혁신모임 '더 좋은 미래'의 간사인 김기식 의원은 이날트위터에 "결과를 알면서 수하 장수들과 병사들을 탈영시켜 사지로 보내는 것이 사령관으로서 옳은 선택인지, 기초무공천이 약속의 정치와 거짓말 정치를 나누는 기준으로 국민이 받아들일지 깊이 고민해주기 바란다"고 적었다.
특히 김 의원은 "'위화도 회군'이 조선 개국으로 이어진 역사를 되짚어 보기를 바란다"면서 무공천 철회를 촉구했다.
그는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두 대표가 이제 개국을 하는데 그동안 나가던 길을 고집스럽게 밀고 나가기보다는 다시 회군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는 취지에서 무공천을 계속 끌고 가는 게 맞느냐는 의문을 제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