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은 무공천 방침을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이 당 안팎에서 쏟아져 나오는 가운데 출구전략의 일환으로 '지역별 국민공천'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철수 공동대표가 제1야당 대표로서는 이례적으로 청와대 민원실을 직접 방문해 면담을 요청하면서 입장표명 시한으로 제시한 7일까지 청와대가 무대응으로 일관할 경우 안 대표로서는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하는 부담을 피할 수 없다.
김한길 공동대표가 이날 서울 홍대 앞 걷고 싶은 거리에서 열린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국민과의 약속입니다! 안철수·김한길의 약속토크'에서 "(내일까지 답이 없으면) 박 대통령도 걱정이고 내일까지 답을 달라고 한 우리도 그 다음에 어떻게 할지 걱정"이라고 답답한 심경을 토로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새정치연합 핵심 지도부는 6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안 대표가 (박 대통령의 답변을) 내일까지 기다려보고 정면으로 대응할 방안을 선택하지 않을까 싶다"며 "지역별 국민공천과 같은 방법을 통해 시민후보를 내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당 내부에서는 전략지역에서만 공천을 선택적으로 하는 '지역별 정당공천'이나 특정후보를 '내천'하는 방안을 모색해왔다. 특히 전당원투표로 방침을 다시 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각에서 제기됐지만 결국 무공천 방침을 뒤집기 위한 꼼수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은 낮게 평가됐다.
일부 강경파 사이에서는 당 대표들이 삭발이나 단식농성 등 극단의 대책을 선택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지만 당 지도부는 전혀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지도부의 한 인사는 뉴시스와 만나 "삭발이나 단식농성은 절대 있을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새정치연합이 검토 중인 '지역별 국민공천' 역시 사실상 내천이라는 비판을 받을 소지가 있지만 공천권을 중앙당 지도부가 아닌 국민들에게 돌려줌으로써 공천폐지 방침을 피할 수 있는 명분을 얻고 후보들의 난립을 막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 【서울=뉴시스】박상훈 기자 = 김한길,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가 6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앞 걷고 싶은 거리에서 '기초선거 정당공천폐지, 국민과의 약속입니다!'라는 주제로 청년층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014.04.06. hyalinee@newsis.com 2014-04-06

박 대통령의 기초공천 폐지 공약이행을 촉구하면서 국회 로텐더홀 농성 중인 한 중진 의원은 이 같은 방안에 대해 "결국 공천제가 무산되면 단일화를 위해서라도 그런 방안을 채택해야 될 것"이라며 "지역별로 국민배심원을 구성해서 단일화를 이루면 (단일후보를) 당이 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고 환영했다.
당 내부에서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을 놓고 갑론을박이 계속되는 가운데서도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의 약속이행을 촉구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신경민·양승조·우원식 최고위원이 지난 4일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촉구하며 "전 당력을 집중해 싸워야 한다"고 주장한 것도 이 때문이다.
우원식 최고위원은 특히 "며칠 동안 대표들이 단호하게 싸워야 한다. 그래서 당의 명운을 걸고 하라고 한 것"이라며 "투쟁은 저 쪽(정부여당)에 대해서 (공천폐지를) 요구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여기(새정치연합)의 절박성을 국민에게 알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청래 의원은 안 대표의 '반민주적 리더십'을 지적하며 전당원투표를 통한 무공천 방침 철회를 주장하면서도 "약속을 지키겠다는 것이 가장 큰 공약이었던 박근혜 후보가 무공천 논란의 가장 나쁜 장본인"이라고 박 대통령을 비난했다.
새정치연합은 오는 7일 오후 국회 도서관에서 당 지도부와 기초선거 예비후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초공천 폐지 입법촉구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iinyoung85@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