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가 기초선거 불(不)공천 방침을 철회하기로 하면서 ‘철수(撤收) 정치’ 등의 비판이 나오자 김효석 최고위원이 “야당 대표 이름을 그렇게 빚대는 것도 막말 정치”라며 “모든 혼란의 근원은 새누리당에 있다”고 반격했다.
김 최고위원은 1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안 대표의 공천 폐지 약속 철회 논란에 대해 “나는 철회라는 표현은 적절지 않다고 본다. 무공천 소식은 변함이 없지만 결국은 유보할 수밖에 없는, ‘유보’라는 것”이라며 이 같이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다음 총선에서 국민이 우리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신다면 그때 가서 법을 고치겠다”며 “어쨌든 이번에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해 (안 대표가) 어제 사과도 했지만 상당히 아프게 생각하는 것 같았다”고 전했다.
그는 일각에서 안 대표를 향해 ‘철수정치’ 등의 표현을 쓰고 있는 것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비쳤다. 그는 “그런 표현은 좀 삼가 줬으면 좋겠다. 그래도 야당 대표 이름 아니냐? 이름을 빚대서 그런 희화적인 표현을 쓰는 건 막말 정치”라며 “언론이 이런데 앞장서고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어 “더 적합한 표현은 ‘적반하장도 유분수’라는 것이다. 혼란의 모든 근원이 새누리당이 처음부터 약속을 번복해버렸기 때문”이라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지난 대선 때 무공천 약속뿐만 아니라 얼마나 많은 약속을 했는가 다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자기들(새누리당)은 수많은 공약을 폐기하고 뒤집어 버리고 말 한마디 사과가 없으면서,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새누리당이 약속을 안 지키니까 유보한 것에 대해 ‘사과해라, 사퇴해라’ 해서 되겠느냐”며 “이것이야말로 물타기이다. 언젠가는 부메랑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안철수 리더십의 위기론’에 대해 “어느 정도 타격이 있지 않겠느냐 보는 시각도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그러나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안 대표가 혼자 결단할 수도 있었지만, 국민과 당원의 뜻을 물어서 함께 답을 찾아가는 민주적인 리더십, 소통의 리더십이 안 대표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으리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천하기로 결정한 이상 다음 숙제는 공천혁명을 어떻게 이뤄내느냐”라며 “(안철수 측을 배려하는) 인위적인 전략공천보다는, 여론조사와 공론조사, 당원투표 등을 선택하거나 조합해 지역이나 상황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게 중요한 것 같다”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1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안 대표의 공천 폐지 약속 철회 논란에 대해 “나는 철회라는 표현은 적절지 않다고 본다. 무공천 소식은 변함이 없지만 결국은 유보할 수밖에 없는, ‘유보’라는 것”이라며 이 같이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다음 총선에서 국민이 우리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신다면 그때 가서 법을 고치겠다”며 “어쨌든 이번에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해 (안 대표가) 어제 사과도 했지만 상당히 아프게 생각하는 것 같았다”고 전했다.
그는 일각에서 안 대표를 향해 ‘철수정치’ 등의 표현을 쓰고 있는 것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비쳤다. 그는 “그런 표현은 좀 삼가 줬으면 좋겠다. 그래도 야당 대표 이름 아니냐? 이름을 빚대서 그런 희화적인 표현을 쓰는 건 막말 정치”라며 “언론이 이런데 앞장서고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어 “더 적합한 표현은 ‘적반하장도 유분수’라는 것이다. 혼란의 모든 근원이 새누리당이 처음부터 약속을 번복해버렸기 때문”이라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지난 대선 때 무공천 약속뿐만 아니라 얼마나 많은 약속을 했는가 다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자기들(새누리당)은 수많은 공약을 폐기하고 뒤집어 버리고 말 한마디 사과가 없으면서,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새누리당이 약속을 안 지키니까 유보한 것에 대해 ‘사과해라, 사퇴해라’ 해서 되겠느냐”며 “이것이야말로 물타기이다. 언젠가는 부메랑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안철수 리더십의 위기론’에 대해 “어느 정도 타격이 있지 않겠느냐 보는 시각도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그러나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안 대표가 혼자 결단할 수도 있었지만, 국민과 당원의 뜻을 물어서 함께 답을 찾아가는 민주적인 리더십, 소통의 리더십이 안 대표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으리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천하기로 결정한 이상 다음 숙제는 공천혁명을 어떻게 이뤄내느냐”라며 “(안철수 측을 배려하는) 인위적인 전략공천보다는, 여론조사와 공론조사, 당원투표 등을 선택하거나 조합해 지역이나 상황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게 중요한 것 같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