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 원내대표는 1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사태의 수습과 진상 규명, 대처 과정에서 국회 국정조사는 불가피한 사항이 됐다"며 "수습에 방해가 되지 않는 시점에 국회에서 국정조사를 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당 일각에서 국정조사의 필요성을 언급한 적은 있지만 지도부가 공식 회의 석상에서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 및 여객선 침몰사고 대책위 연석회의'에서 "사고 수습과정에서 능력도 부재이지만, 국민과의 공감을 못 이루고 있는 '공감부재 정권'임을 새롭게 확인했다"면서 "정부 책임이 99%인데 1%만 책임지겠다는 발상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강도 높은 진상조사를 강조했다.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이날 의원총회에서 "올해 남은 국회는 상시국회, 비상국회가 돼야 한다",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각각 밝힌 것도 국회를 통한 책임추궁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심상정 정의당 원내대표도 "'사람을 살리는 데에 무책임한 정부는 필요없다'는 국민의 원망과 질타를 대통령과 정부, 정치권 모두가 깊이 새겨야 한다"며 "이제는 국회가 본연의 역할을 해야 한다. 국정조사를 비롯해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화력을 보탰다.
새정치연합은 특히 해경이 민간 구조업체인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를 위해 해군 최정예 부대의 잠수를 막았다는 의혹을 전면 부각시키며 '정부 책임론'에 불을 지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사실이라면 천인공노할 일로, 반드시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병완 정책위의장도 "국가가 어떻게 이럴 수 있는지 말문이 막힌다"며 "한 점 숨김없이 진실을 파헤쳐 추악한 유착관계를 밝혀낼 것"이라고 밝혔다.
야당은 국정조사 카드 외에도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비판한 유가족의 입장 표명에 청와대가 '유감스럽다'고 밝힌 것도 집중 거론하며 정부·여당을 압박하고 나섰다. 장 정책위의장은 "백번 사죄해도 모자랄 판에 어떤 이유로 유가족들에게 이런 말을 했는지 이해가 안 간다"면서 "유가족 마음보다 대통령 심기를 걱정하는 청와대에 대한 유가족과 국민의 공분이 더 커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도 "책임론에서 대통령만 탈출시키려는 청와대와 정부의 눈물 나는 노력을 보면 서글프고 개탄스럽다"면서 "국회의 다수당인 여당도 '친박 마피아', '박피아' 정당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이런 사고가 언제든 다시 일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천호선 정의당 대표는 이날 당 상무위원회에서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장에 앉아서 장관들만 앞에 놓고 모호한 한마디로 사과를 대신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며 "박근혜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피해자와 가족들에게 직접 사과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천 대표는 "대통령이 아무 것도 책임지지 않고 사과하지 않는데, 그 아래 어떤 공직자가 책임을 지려 하겠는가"라며 "대통령이 앞장서지 않으면 비극의 재발을 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야당의 공세는 세월호 사고로 정부의 무능에 대한 비난 여론이 들끓자 '정부 심판론'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풀이된다.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6·4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박근혜 정부의 책임을 전면에 부각하겠다는 의도도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5/01/2014050101292.html
야당이 표류하는듯보였는데
이제키를제대로잡은듯합니다.
야당이 표류하지않도록 감시를 철저히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