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6·4 지방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을 위한 사전투표가 오는 30일부터 이틀간 전국적으로 시행된다. 지방선거 첫 사전투표가 전체 투표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2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유권자라면 누구나 30일부터 이틀간 오전 6시~오후 6시 읍·면·동마다 있는 사전투표소에서 별도의 사전신고 없이 신분증만으로도 투표할 수 있다. 전국 단위 선거에서 사전투표가 실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에는 전국 413개의 부재자투표소가 설치됐지만, 이번부터 3506개의 사전투표소로 대체된 것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투표 접근성이 개선돼 투표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사전투표소 위치는 중앙선관위 홈페이지(www.nec.go.kr)와 선거정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중앙선관위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군·구별 사전투표 진행상황을 공개할 계획이다.
사전투표에 대한 여야간 '주판알 튕기기'도 한창이다. 통상 높은 투표율은 야당에 유리한 것으로 인식된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주요 지지층을 젊은층을 겨냥해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휴대폰 문자 등을 통해 사전투표율 올리기에 사활을 건 이유다. 이는 세월호 참사 등으로 수세에 몰린 새누리당도 마찬가지다. 정권심판론에 침묵하는 여권 지지자들을 결집해야 한다는 전략이다.
다만 사전투표의 전체 투표율 증가효과에 대해서는 전문가들간 전망은 엇갈린다. 이정희 한국외대 정외과 교수는 "사전투표가 젊은층의 투표를 독려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되면 투표율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반면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사전투표에 나오는 유권자는 선거 당일에도 나올 사람"이라면서 "사전투표율이 높거나 낮은 게 전체 투표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월호 참사가 정치에 대한 무관심으로 번져 투표율이 낮아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한편 이날부터 다음달 4일 오후 6시 투표마감 시각까지 6·4 지방선거 판세와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하거나 인용해 보도하는 행위는 전면 금지된다.
김정남 (jungkim@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