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2010년 ‘여론조사 대실패’ 이후 휴대전화 포함시켰지만
거주지 알 수 없어…미리 확보해둔 전화번호 활용 많아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많은 언론사에서 앞다퉈 여론조사를 발표했다. 경기·부산·인천 등 몇몇 지역을 두고 서로 결과가 달라 유권자들은 혼란스러워 한다. 지방선거 여론조사의 들쭉날쭉한 결과, 그 비밀은 휴대전화에 있다는 게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집전화는 대체로 여당세가, 휴대전화는 상대적으로 야당세가 강하게 나타난다. 여론조사가 실시되는 평일 낮에 유선전화를 받을 수 있는 계층이 주로 장·노년층이나 주부, 그리고 자영업자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 가 리서치플러스와 지난달 27~28일 실시한 여론조사를 보면, 부산의 경우 후보별 지지율은 서병수 새누리당 후보 33.9%, 오거돈 무소속 후보 44.4%였다. 그런데 집전화와 휴대전화로 나눠 지지율을 보면 서 후보는 집전화 44%, 휴대전화 22%로, 오 후보는 집전화 36.2%, 휴대전화 53.9%로 나왔다. 휴대전화를 반영하는지, 또 그 반영 비율이 어떤가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는 판이하게 나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휴대전화가 여론조사에 대거 도입된 이유는 ‘2010년 여론조사 대참사’ 때문이었다. 당시 서울시장 선거 여론조사에서 투표일 직전까지 오세훈 새누리당 후보가 한명숙 민주당 후보를 20%포인트 이상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막상 개표함을 열어보니, 후보간 격차는 불과 0.6%포인트였다. 2010년까지 쓰이던 케이티(KT) 전화전호부를 이용한 여론조사가 만든 오류였다. 인터넷 전화나, 휴대전화만 사용하는 가구는 원천적으로 배제돼 시대흐름과 맞지 않고, 보수층이 강한 여론조사로 전개될 수 밖에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디디(RDD) 방식이 도입됐다. 전화번호명부 사용 방식이 아니라 기계가 무작위로 전화번호를 생성해 전화를 거는 방식이다. 또 2012년 총·대선을 계기로 휴대전화를 포함한 여론조사도 크게 늘어났다.
집전화의 경우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번호가 있어 지역을 맞추기가 쉽다. 하지만 지역번호가 없는 휴대전화로는 지역을 맞추기가 어렵다. 조사기관에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패널’이라 부르는 휴대전화부 명부를 활용한다. 평소에 조사 패널을 신청한 사람이나 조사기관이 전화조사를 통해 휴대전화번호를 확보한 유권자에 대해 정보(성, 연령, 지역)를 미리 축적해 두었다가 사용하는 방식이다.
지금 언론사에서 발표한 여론조사는 100% 집전화 방식, 집전화를 기본으로 일부 휴대전화를 반영하는 방식, 집전화와 휴대전화를 반반씩 조사하는 방식 등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100% 집전화 방식 조사는 여당 지지율이 실제보다 더 높게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 휴대전화조사의 경우에도 여론조사 기관들이 주로 이용하는 패널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다소 다르게 나올 가능성이 있다. 비용과 시간이라는 현실적 이유로 휴대전화 패널을 활용하는 경우가 제법 되는데, 패널 구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선전화와 휴대전화를 모두 임의전화걸기 방식으로 할 경우, 패널 구성에 따른 위험성을 상대적으로 더 줄일 수 있다. 17대 광역시도를 조사하는 방송사 조사는 이 방식을 택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최대 격전지인 경기도의 경우 상당수 조사에서 여야간 후보 격차가 3%포인트 이상이었는데, 방송사 조사에서는 1.4%포인트 밖에 나지 않았다. 동일한 방식을 택한 미디어리서치, 한국리서치 조사에서는 소수점 한자리수까지 좁혀졌다.
한귀영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연구위원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 [인기화보] [인기만화] [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거주지 알 수 없어…미리 확보해둔 전화번호 활용 많아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많은 언론사에서 앞다퉈 여론조사를 발표했다. 경기·부산·인천 등 몇몇 지역을 두고 서로 결과가 달라 유권자들은 혼란스러워 한다. 지방선거 여론조사의 들쭉날쭉한 결과, 그 비밀은 휴대전화에 있다는 게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집전화는 대체로 여당세가, 휴대전화는 상대적으로 야당세가 강하게 나타난다. 여론조사가 실시되는 평일 낮에 유선전화를 받을 수 있는 계층이 주로 장·노년층이나 주부, 그리고 자영업자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 가 리서치플러스와 지난달 27~28일 실시한 여론조사를 보면, 부산의 경우 후보별 지지율은 서병수 새누리당 후보 33.9%, 오거돈 무소속 후보 44.4%였다. 그런데 집전화와 휴대전화로 나눠 지지율을 보면 서 후보는 집전화 44%, 휴대전화 22%로, 오 후보는 집전화 36.2%, 휴대전화 53.9%로 나왔다. 휴대전화를 반영하는지, 또 그 반영 비율이 어떤가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는 판이하게 나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휴대전화가 여론조사에 대거 도입된 이유는 ‘2010년 여론조사 대참사’ 때문이었다. 당시 서울시장 선거 여론조사에서 투표일 직전까지 오세훈 새누리당 후보가 한명숙 민주당 후보를 20%포인트 이상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막상 개표함을 열어보니, 후보간 격차는 불과 0.6%포인트였다. 2010년까지 쓰이던 케이티(KT) 전화전호부를 이용한 여론조사가 만든 오류였다. 인터넷 전화나, 휴대전화만 사용하는 가구는 원천적으로 배제돼 시대흐름과 맞지 않고, 보수층이 강한 여론조사로 전개될 수 밖에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디디(RDD) 방식이 도입됐다. 전화번호명부 사용 방식이 아니라 기계가 무작위로 전화번호를 생성해 전화를 거는 방식이다. 또 2012년 총·대선을 계기로 휴대전화를 포함한 여론조사도 크게 늘어났다.
집전화의 경우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번호가 있어 지역을 맞추기가 쉽다. 하지만 지역번호가 없는 휴대전화로는 지역을 맞추기가 어렵다. 조사기관에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패널’이라 부르는 휴대전화부 명부를 활용한다. 평소에 조사 패널을 신청한 사람이나 조사기관이 전화조사를 통해 휴대전화번호를 확보한 유권자에 대해 정보(성, 연령, 지역)를 미리 축적해 두었다가 사용하는 방식이다.
지금 언론사에서 발표한 여론조사는 100% 집전화 방식, 집전화를 기본으로 일부 휴대전화를 반영하는 방식, 집전화와 휴대전화를 반반씩 조사하는 방식 등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100% 집전화 방식 조사는 여당 지지율이 실제보다 더 높게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 휴대전화조사의 경우에도 여론조사 기관들이 주로 이용하는 패널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다소 다르게 나올 가능성이 있다. 비용과 시간이라는 현실적 이유로 휴대전화 패널을 활용하는 경우가 제법 되는데, 패널 구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선전화와 휴대전화를 모두 임의전화걸기 방식으로 할 경우, 패널 구성에 따른 위험성을 상대적으로 더 줄일 수 있다. 17대 광역시도를 조사하는 방송사 조사는 이 방식을 택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최대 격전지인 경기도의 경우 상당수 조사에서 여야간 후보 격차가 3%포인트 이상이었는데, 방송사 조사에서는 1.4%포인트 밖에 나지 않았다. 동일한 방식을 택한 미디어리서치, 한국리서치 조사에서는 소수점 한자리수까지 좁혀졌다.
한귀영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연구위원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 [인기화보] [인기만화] [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