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
정종섭 안행부 장관 후보자
송광용 교육문화수석
김명수·정종섭·송광용 논문표절 의혹
2기 내각 출발도 전에 ‘부실 검증’ 논란
박근혜정부의 2기 내각 주요 인사들이 청문회를 앞두고 잇따른 논문표절 의혹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역사인식 논란'에 이어 김명수 교육부·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들과 송광용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의 논문이 무더기로 심판대에 올랐다.
17일 새정치민주연합 박홍근 의원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지난 2002년 6월 발표한 '자율적 학급경영방침 설정이 아동의 학급생활에 미치는 영향'이란 논문이 김 후보자의 제자인 정모씨가 같은 해 2월 쓴 석사학위 논문과 제목 및 내용에서 상당부분 일치했다. 김 후보자는 학술지에 논문을 내면서 자신을 1저자로, 제자 정씨를 2저자로 게재했다.
정 후보자의 경우 '자기표절' 의심이 제기됐다. 지난 2006년 학술지 '법과 사회'에 발표한 '탄핵제도와 헌법디자인' 논문이 2005년 게재한 자신의 논문 '탄핵심판에 있어 헌법재판소의 탄핵여부 결정권'과 내용 및 문장이 상당 부분 겹친다는 점에서 실적 부풀리기를 위한 '셀프표절'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송 수석의 경우 김 후보자와 마찬가지로 제자가 쓴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면서 자신을 1저자로 등재해 연구성과를 가로챘다는 의혹이 나온 데 이어 자신이 논문심사위원장을 맡은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해 학술지에 등재했다는 의혹이 새롭게 제기됐다. 세 사람 모두 해당 의혹에 대해 "문제가 될 게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교롭게 이들 모두 교수의 본분인 연구 실적을 판가름짓는 논문에서 의혹이 나온 만큼 도덕성 시비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김 후보자와 송 수석의 경우 향후 내각과 청와대에서 우리나라 교육 정책을 이끌 인물이라는 점에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부적격 여론이 조성될 수 있다.
장관 후보자와 청와대 수석의 과거 행적이 논란의 중심에 자리잡으면서 청와대의 인사검증 시스템이 다시 도마에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정수석실을 관장하는 동시에 청와대 인사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에 화살이 집중될 수 있다.
ys8584@fnnews.com
김영선 조지민 기자
☞ 공식 SNS계정 [페이스북] [트위터] | ☞ 파이낸셜뉴스 [PC웹] [모바일웹] | ☞ 패밀리사이트 [부산파이낸셜뉴스] [fn아이포커스] [fn아트]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정종섭 안행부 장관 후보자
송광용 교육문화수석
김명수·정종섭·송광용 논문표절 의혹
2기 내각 출발도 전에 ‘부실 검증’ 논란
박근혜정부의 2기 내각 주요 인사들이 청문회를 앞두고 잇따른 논문표절 의혹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역사인식 논란'에 이어 김명수 교육부·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들과 송광용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의 논문이 무더기로 심판대에 올랐다.
17일 새정치민주연합 박홍근 의원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지난 2002년 6월 발표한 '자율적 학급경영방침 설정이 아동의 학급생활에 미치는 영향'이란 논문이 김 후보자의 제자인 정모씨가 같은 해 2월 쓴 석사학위 논문과 제목 및 내용에서 상당부분 일치했다. 김 후보자는 학술지에 논문을 내면서 자신을 1저자로, 제자 정씨를 2저자로 게재했다.
정 후보자의 경우 '자기표절' 의심이 제기됐다. 지난 2006년 학술지 '법과 사회'에 발표한 '탄핵제도와 헌법디자인' 논문이 2005년 게재한 자신의 논문 '탄핵심판에 있어 헌법재판소의 탄핵여부 결정권'과 내용 및 문장이 상당 부분 겹친다는 점에서 실적 부풀리기를 위한 '셀프표절'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송 수석의 경우 김 후보자와 마찬가지로 제자가 쓴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면서 자신을 1저자로 등재해 연구성과를 가로챘다는 의혹이 나온 데 이어 자신이 논문심사위원장을 맡은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해 학술지에 등재했다는 의혹이 새롭게 제기됐다. 세 사람 모두 해당 의혹에 대해 "문제가 될 게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교롭게 이들 모두 교수의 본분인 연구 실적을 판가름짓는 논문에서 의혹이 나온 만큼 도덕성 시비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김 후보자와 송 수석의 경우 향후 내각과 청와대에서 우리나라 교육 정책을 이끌 인물이라는 점에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부적격 여론이 조성될 수 있다.
장관 후보자와 청와대 수석의 과거 행적이 논란의 중심에 자리잡으면서 청와대의 인사검증 시스템이 다시 도마에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정수석실을 관장하는 동시에 청와대 인사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에 화살이 집중될 수 있다.
ys8584@fnnews.com
김영선 조지민 기자
☞ 공식 SNS계정 [페이스북] [트위터] | ☞ 파이낸셜뉴스 [PC웹] [모바일웹] | ☞ 패밀리사이트 [부산파이낸셜뉴스] [fn아이포커스] [fn아트]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새누리 부산 사하갑 문도리코.
새누리당은 표절논란으로 탈당한 문대성을
과반수 획득을 위해 다시 복당시키는 잔혹함도 서슴치 않았다.
새누리당은 권력유지를 위해서는 그 어떤 불법과도 손을 잡고
어둠의 세계와도 손을 잡는 그들만의 조직세계이다.
대한민국에서 영원히 사라져야 할 암적인 정당임을 선언하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