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재보궐 선거가 열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선거 초반 판세는 여당인 새누리당이 조금 우세해 보입니다.
7.30 재보선에 나선 후보들은 그제(17일)부터 13일간의 공식 선거운동에 돌입했습니다.
새누리당은 혁신하는 보수, 일꾼론을 기치로 내세웠습니다.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집권 여당의 힘으로 우리 후보들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민생을 위해 헌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뒷받침하도록 하겠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거짓세력 대 새정치의 대결로 규정하고 정권 심판론을 앞세웠습니다.
[김한길/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 : 국민들께서 이번 7.30 재보선을 통해서 박근혜 정부에게 분명한 경고장을 날려줘야 하는 선거다.]
선거 초반 새누리당은 서울 동작 을과 충북 충주, 부산 해운대·기장 갑, 울산 남 을 4곳을 우세 지역으로 자체 분석했습니다.
새정치연합은 광주 광산 을을 포함한 호남 3곳을 우세 지역으로 꼽았습니다.
나머지 경기 김포와 평택 을, 수원 을, 병, 정, 충남 서산·태안, 대전 대덕, 전남 순천·곡성은 경합이나 열세지역으로 분류했습니다.
결국 이 8곳의 승부 결과가 이번 재보선의 전체 승패를 결정지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야가 덜 절박했던 것일까요?
세월호 유가족들이 단식 농성까지 하고 있는데도, 여야는 6월 임시국회 안에 세월호 특별법을 처리하겠다는 약속을 결국 지키지 않았습니다.
일주일 넘게 세월호 특별법을 논의했던 여야는 그제 협상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조사위원회에 수사권을 부여하는 문제와 위원회 구성 방안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겁니다.
새누리당은 사법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며 상설특검이나 특임검사를 임명하자는 주장을 고수했습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조사위 산하에 특별사법경찰관을 두는 방식으로 수사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맞섰습니다.
이번 임시국회에서 세월호 특별법 통과가 무산됐다는 소식에 가족들은 또 한 번 가슴을 쳤습니다.
[이수하/세월호 가족대책위 : 당 대표나 지도부에서 좀 특단의 결단을 해서 됐으면 하는 바람도 있었지만은 그런 희망도 이제 없어진 거죠.]
그제 국회에서는 66주년 제헌절 경축식이 열렸지만 세월호 가족들의 분노와 슬픔 속에 경축의 의미는 빛이 바랬습니다.
[축하하게 생겼습니까? 헌법이 죽었는데…]
여야는 다음 주부터 7월 임시국회를 열기로 합의해 처리 가능성을 남겨 뒀습니다.
하지만, 6월 임시국회에서 통과시키겠다던 약속을 어긴 데 대해서는 책임을 면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현 정부 2기 내각은 미완성 상태에서 출범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논문 표절 의혹 등을 받아온 김명수 교육부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했습니다.
대신 5선의 친박계 중진인 황우여 전 새누리당 대표를 새 후보자로 지명했습니다.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불거진 위증과 폭탄주 회식 논란 등으로 야당으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아온 정성근 문화부장관 후보자는 자진 사퇴했습니다.
부정적인 여론이 가라앉지 않은 데다, 야당이 추가 의혹을 폭로할 움직임을 보이자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당은 정성근 후보자의 결단을 존중하겠다고 논평했고, 야당은 사퇴는 당연한 결과라며 청와대 책임론을 제기했습니다.
임명 강행에 따른 정국 경색은 일단 피하게 됐지만, 거듭된 인사 실패에 대한 비판 여론은 거세질 전망입니다.
김지성 기자 jisung@sbs.co.kr
선거 초반 판세는 여당인 새누리당이 조금 우세해 보입니다.
7.30 재보선에 나선 후보들은 그제(17일)부터 13일간의 공식 선거운동에 돌입했습니다.
새누리당은 혁신하는 보수, 일꾼론을 기치로 내세웠습니다.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집권 여당의 힘으로 우리 후보들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민생을 위해 헌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뒷받침하도록 하겠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거짓세력 대 새정치의 대결로 규정하고 정권 심판론을 앞세웠습니다.
[김한길/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 : 국민들께서 이번 7.30 재보선을 통해서 박근혜 정부에게 분명한 경고장을 날려줘야 하는 선거다.]
선거 초반 새누리당은 서울 동작 을과 충북 충주, 부산 해운대·기장 갑, 울산 남 을 4곳을 우세 지역으로 자체 분석했습니다.
새정치연합은 광주 광산 을을 포함한 호남 3곳을 우세 지역으로 꼽았습니다.
나머지 경기 김포와 평택 을, 수원 을, 병, 정, 충남 서산·태안, 대전 대덕, 전남 순천·곡성은 경합이나 열세지역으로 분류했습니다.
결국 이 8곳의 승부 결과가 이번 재보선의 전체 승패를 결정지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야가 덜 절박했던 것일까요?
세월호 유가족들이 단식 농성까지 하고 있는데도, 여야는 6월 임시국회 안에 세월호 특별법을 처리하겠다는 약속을 결국 지키지 않았습니다.
일주일 넘게 세월호 특별법을 논의했던 여야는 그제 협상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조사위원회에 수사권을 부여하는 문제와 위원회 구성 방안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겁니다.
새누리당은 사법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며 상설특검이나 특임검사를 임명하자는 주장을 고수했습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조사위 산하에 특별사법경찰관을 두는 방식으로 수사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맞섰습니다.
이번 임시국회에서 세월호 특별법 통과가 무산됐다는 소식에 가족들은 또 한 번 가슴을 쳤습니다.
[이수하/세월호 가족대책위 : 당 대표나 지도부에서 좀 특단의 결단을 해서 됐으면 하는 바람도 있었지만은 그런 희망도 이제 없어진 거죠.]
그제 국회에서는 66주년 제헌절 경축식이 열렸지만 세월호 가족들의 분노와 슬픔 속에 경축의 의미는 빛이 바랬습니다.
[축하하게 생겼습니까? 헌법이 죽었는데…]
여야는 다음 주부터 7월 임시국회를 열기로 합의해 처리 가능성을 남겨 뒀습니다.
하지만, 6월 임시국회에서 통과시키겠다던 약속을 어긴 데 대해서는 책임을 면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현 정부 2기 내각은 미완성 상태에서 출범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논문 표절 의혹 등을 받아온 김명수 교육부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했습니다.
대신 5선의 친박계 중진인 황우여 전 새누리당 대표를 새 후보자로 지명했습니다.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불거진 위증과 폭탄주 회식 논란 등으로 야당으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아온 정성근 문화부장관 후보자는 자진 사퇴했습니다.
부정적인 여론이 가라앉지 않은 데다, 야당이 추가 의혹을 폭로할 움직임을 보이자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당은 정성근 후보자의 결단을 존중하겠다고 논평했고, 야당은 사퇴는 당연한 결과라며 청와대 책임론을 제기했습니다.
임명 강행에 따른 정국 경색은 일단 피하게 됐지만, 거듭된 인사 실패에 대한 비판 여론은 거세질 전망입니다.
김지성 기자 jisung@s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