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설 장군 후손, 영화 '명량' 제작자 등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
15일 경주 배씨 비상대책위원회는 경북 성주경찰서에 '명량'의 제작자 겸 감독 김한민, 각본가 전철홍,
비대위는 "영화 '명량' 제작자들이 배설 장군을 역사적 사실과 달리 이순신 장군을 살해하려 하고
실제로 조선왕조실록 등에 따르면 배설 장군은 명량해전이 있었던 1597년이 아니라 1599년에 사망했다.
또 비대위는 "배 장군이 뭍에 내렸다가 도주해 참수당한 것은 사실이지만 명량해전에는 참가하지 않았다"며
영화 '명량'의 고소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아무리 영화라도 역사 왜곡은 잘못된 일이다",
동인의 김성일은 반대로 " 침략 가능성이 없으니 대비할 필요가 없다 "고 말하여
그러나 김성일에게 의병의 아버지라고 미화시킨 것은 지나친 것으로 봅니다
유성룡은 임진왜란 후에 징비록을 저술했는데 반성의 뜻을 담은 것이라고 합니다
당연히 임진왜란 전에 이율곡 선생님의 대비책을 거부했으니 반성해야 합니다
또 유성룡은 우리가 얇은 책으로 배운 것과 달리 전쟁 중에 왜구와 화친을
추진했다는 것을 역사를 깊게 공부하신 분들은 압니다
박윤규 선생님의 책 < 재상 > 397쪽을 보면 " 유성룡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평가는
결코 좋지만은 않다 "라면서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 유성룡은 .... 그러나 우유부단하고 줏대가 없어서
대신으로서 체통을 지키지 못했다
나라의 뜻이 정해지지 않은 때에 화의( 화친 )을 한 것은 원수를 잊게하고
부끄러움을 참게 만든 죄이다 "라고 번역하셨습니다
2008년 8월 29일 오마이뉴스에 실린 역사학자 이덕일 선생님의 동인 , 서인에 관한
부분을 아래에 인용합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70518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등의 대중적인 역사서를 여러 권 펴낸
이덕일 소장은 소통을 상하의 소통, 다른 사상, 세계와의 소통, 서로 다른 정치세력간의
소통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진정한 소통은 역사와의 소통임을 강조했다.
"조선시대의 상소와 구언(왕이 자신의 잘못을 지적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은
상하의 소통이며, 주자학이 지배하던 시절에 양명학을 하던 학자들은 다른 사상과
소통한 것이고, 동인을 이끌던 유성룡과 서인을 이끌던 이율곡은 당파를 떠나
소통의 정치를 하던 사람입니다.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개창한 정도전 같은 이는 역사와 소통을 한 인물이라 할 수 있죠."
이덕일 소장은 가깝게는 ( 지행합일을 주장한 ) 조선 후기의 양명학자들이야말로
"조선이라는 사회에서 주류 세력과의 소통에는 실패했지만 역사와의 소통에는 성공한
참지식인의 전형"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참고로 1) 원균을 적극 옹호한 윤두수는 지금의 서울에서 1533년에 태어났는데
지방 군수한테 뇌물을 받아서 파직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아
원균한테도 뇌물을 받고 개인적인 입장에서 원균을 옹호했을 것으로 봅니다
친노친문이 혹세무민하는 꼼수를 즐겨 사용하듯이 그 버릇 어디 가겠습니까 ?
2) 원균은 지금의 경기도 평택에서 1540년에 태어났음
3) 충무공 이순신은 지금의 서울시 중구 인현동에서 1545년에 출생하셨는데
바다를 구경도 못한 분이 해상 전투에서 100% 승전을 한것은
사리와 조금의 때에 맞춰 배의 방향을 잘 맞추고 노를 잘 저어간 현지인 출신의 수군과
충무공의 지략이 결합된 결과로 해석을 합니다
또 이순신 장군은 친척에게 보낸 서신에 약무호남시무국가(若無湖南是無國家)라는 문구를
기록하였다고 합니다
[호남이 없었으면 국가도 없었을 것이다 또는 호남이 없으면 국가도 없을 것이다]의 뜻으로 해석합니다
임진왜란 당시에 광해군은 전주에 내려와서 전주를 제2의 한양으로 생각하여
호남인과 합세하여 태조 이성계 어진(임금의 초상화)을 모신 < 경기전 >을
목숨 걸고 지키기도 했습니다
고진숙 님의 책 < 이순신을 만든 사람들 >을 보시면 우리가 잘 아는바와 같이
장수는 자기 분야를 잘 아는 부하의 의견도 존중하고 여러 사람의 지혜를 모아서
응집된 에너지로 승리를 만들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역사 공부를 드라마, 영화로 하겠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사람들은
새무리 지지자 중에 많을 것입니다
드라마, 영화는 흥미를 가미하는 각색의 수준을 넘어서
정치적인 의도를 가지고 조작을 많이 합니다
2, 경남 의령의 곽재우 장군(1552년생)과 광주의 김덕령 장군(1567년생)은 나이 차이가 있지만
서로 합세하여 의병 활동을 하셨고 곽재우 장군은 김덕령 장군이 한창 왜적과 싸울 때에
화친파에 의해서 누명쓰고 죽게 되니까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선조는 1594년 김덕령 장군이 3000여명의 의병을 이끌고 경남 진주에 주둔하고 있을 때
전국의 의병을 김덕령 장군이 지휘하는 충용군에 통합하도록 조치함으로써
김덕령 장군은 27세에 전국의 의병을 지휘 통솔하는 높은 지위를 갖게 되었습니다
( 이는 세조 임금의 고종사촌인 남이 장군이 27세에 장관이 된 것과 같은 나이 )
1595년 왜군이 경남 고성에 상륙하려 할 때에 곽재우 장군과 김덕령 장군은 연합작전으로
왜군을 물리쳤습니다
그러나 남이 장군처럼 김덕령 장군도 출중한 능력을 시기하는 무리들의 모함으로 단명하게 됩니다
출처 = http://blog.daum.net/stlim923/15030583
( 참고로 송강 정철의 제자이고 김덕령 장군의 친구였던 석주 권필(權糧:1569∼1612)의 꿈에.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은 김덕령 장군이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하고 한맺힌 노래
《취시가(醉時歌)》를 부르자, 권필이 이에 화답하는 시를 지어 원혼을 달랬다고 한다.
권필 선생이 꿈에서 취시가를 세번 보았던 기억을 살려서 쓴 것은 다음과 같다 )
醉時歌 (권필 지음/ 권순열 번역)
醉時歌여 취시가여
此曲無人聞이라 이 곡을 듣는 이 없네.
我不要醉花月이요 나는 꽃과 달에 취하고 싶지 않고
我不要樹功勳이라 나는 공훈도 세우고 싶지 않네.
樹功勳也是浮雲이요 공훈을 세우는 것도 뜬구름이요
醉花月也是浮雲이라 꽃과 달에 취하는 것도 뜬구름이라네.
醉時歌無人知라 취시가를 알아주는 사람 없는지라
我心只願長劍奉明君이라 내 마음 다만 장검들고 명군 받들기를 원하네
위의 취시가를 다시 보니 김덕령 장군이 明君을 받들고 싶었던 그 마음처럼
안철수 의원님도 항일 애국지사님들의 뜻을 받들어 좋은 나라를 만들어서
길이 보전하고 싶은 마음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을 40년 이상 살아본 사람들은 " 어른들 말씀이 맞더라"는 고백을 합니다
어른들의 인생 경험(개인의 역사)과 축적된 지식의 검증을 통해서 후손들에게
사안에 따라 때에 맞춰서 해주신 말씀들이
지나고 보면 대학교에서도 배우지 못한 금과옥조의 가르침이었다고 독백도 하면서
부모님을 비롯하여 자신에게 가르침을 주신 분들께 감사하는 마음을 저절로
갖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역사 공부를 통해서 많은 가르침을 주시고자 노력하신 최상천 前 대구카톨릭대
역사학과 교수님,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님 ( 前 서울대 교수이시며, 많은 애국자를 배출한
집안의 후손 ) 역사에 친밀감을 갖게 해주시는 역사학자 이덕일 선생님,
< 영원한 라이벌 김대중과 김영삼 >을 저술한 이동형님 (경북 안동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정치에 관심이 많았다는데 필력이 대단함) 등은 정말 고마운 분들입니다
저는 이 세상에서 가장 값이 저렴한 것은 책과 약이라고 생각합니다
책과 약을 과자 한 봉지 값하고 비교하면 쉽게 이해 될 것입니다
애국심이 애향심 보다 우선하며 바른 역사가 전해져야 한다는 뜻으로 적었습니다
의병의 후손들과 항일 애국지사님들의 후손들이 사회의 지도층으로 많이 진출해야
사회가 더욱 건전하게 발전할 것입니다
특히 국가정보원장을 항일애국지사의 후손이 맡으면 정보 왜곡과 여론 조작 등의 정치 개입이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봅니다
당시의 다수파인 동인의 결정대로 대비를 안해서 임진왜란의 피해가 컸다는 것이
역사를 깊이 아는 분들에게는 주지의 사실입니다
이 때 이율곡 선생님은 동인의 대표인 유성룡을 찾아가 " 왜구의 침략 가능성을
잘 알면서 왜 침략을 대비할 필요가 없다고 말합니까 ? " 라고 설득을 했으나
유성룡이 끝까지 " 대비할 필요가 없다"고 고집부리자
이율곡 선생님은 나가면서 "서애 ( 유성룡의 호 )가 그렇게 하는 것을 보니
왜란이 꼭 생길 것이요 "라고 말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영화에서 보았는지 왜란을 대비하자고 주장했던 서인들이
전쟁 중에 이순신 장군을 모함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은 논리적으로도 안맞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