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치/사회 ♜♞♟ 토론 게시판입니다.
* 퍼온 기사의 경우는 꼭 출처를 밝히고 본문 하단에 주소 링크(새창으로 뜨게)를 걸어주세요. 기사의 출처표기와 링크가 없거나, 중복 게시물, 깨진 게시물(html 소스가 깨져 지져분한)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이동 또는 삭제 될수 있습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합사회과 국정교과서의 문제점

조 광 (고려대 한국사학과 명예교수)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고 한다. 이는 교육이 국가의 먼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계책이라는 말이다. 사실, 교육은 국가의 미래뿐만 아니라 개인의 평생을 좌우하는 중대한 문제다. 때문에 모든 국가들은 심사숙고하여 교육정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에 관한 국민적 관심은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다. 그래서 교육은 우리 국민 모두가 일가견을 가지고 있는 주제가 되었다. 

  교육의 중심은 학교 교육에 있다. 이는 가정이나 사회에서의 교육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근현대 사회에 접어든 이후 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임은 더욱 강화되어 가는 추세다. 그러나 그것이 규제와 간섭에 있다는 말만은 아니다. 민주적 국가일수록 국가는 교육에 대한 통제보다는 지원을 중시한다. 그만큼 국민을 믿고 그들의 역량을 존중하기 때문이다.

통합교과서 국정화 방안은 전체주의적 발상

  지난 9월 24일 교육부는 정부 세종청사에서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교과용도서 구분고시(안)’을 발표했다. 이 안의 핵심은 2018년도부터 적용되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국어, 영어, 수학, 통합사회, 통합과학을 필수 10단위로 정하고, 한국사는 필수 6단위로 하며, 과학실험은 필수 2단위로 한다는 것이다. 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두 과목은 통합교과서로 배우고 이를 국정화 한다는 내용이다.

  통합사회는 한국사를 제외하고 세계사, 동아시아사, 정치와 법, 경제,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등과 같은 과목들을 포괄하고 있다. 그런데 원래 사회과목은 이념적 다양성이 매우 크다. 교과과정에 사회과목들이 설정된 목표는 그 다양성의 확인을 통해 건전한 민주시민을 양성하려는 데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이를 하나의 통합과목으로 묶어서 국정화된 이념을 가지고 고등학교 교육을 진행하겠다는 말이다. 

   이번 고시안의 목적에는 인문과 사회의 기초 소양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겠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 당국이 의도하고 있는 통합사회 교과목의 설정과 그 교과서의 국정화 방안은 태생부터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통합교과서의 국정화 방안은 그 발상 자체가 전체주의적 사고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현재의 시곗바늘을 1970년대 유신 시대의 암흑으로 되돌리는 시대착오적 발상이기도 하다. 

  이번의 고시안에서 드러나는 문제로는 우선 국정화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교과서의 국정화는 국가가 지향하는 교육목적을 관철시키기 위해 국가가 교과서를 직접 장악한다는 말이다. 그러나 국정화는 급격히 변화 발전하는 현대사회와 학계의 동향을 교과서에 제대로 반영할 수가 없다. 그리고 이는 피교육자의 시야를 극도로 좁혀주어 경직된 사고방식을 갖게 한다.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는 교과서의 국정화를 시도하기보다는 이를 검인정으로 간행하거나 아예 자유선택제를 시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회과목이 가지고 있는 학문적 성격 때문에 국정화는 불가하다. 인문·사회과목은 이념적 스펙트럼이 매우 넓고 다양하다. 학생들은 해석의 다양성을 이해함으로써 비판의식과 창조적 사고능력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단일한 교과서는 단순한 하나의 해석만을 강박한다. 물론 통합사회의 국정교과서에서도 여러 이론을 나열하여 제시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 강조점은 어디까지나 국가가 의도하는 특정 이론의 정당성을 강변하는 데에 그칠 것이다. 따라서 이는 결코 사회과 교과목의 설치목적에도 부합되지 않는다.

  셋째로, 통합사회과의 교과서 편찬에 따르는 문제가 심각할 것이다. 교과서는 교육의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도구다. 교과서의 수준은 교육의 질과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그러기에 교과서의 편찬에는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게 마련이다. 이를 2~3년 내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어불성설적 발상이다. 우리 학계에서는 이런 교과서를 편찬한 경험이 없다. 앞으로 2년에 걸쳐서 급조할 그 교과서는 필시 통합사회과라는 장점을 살리기보다는 각 과목의 주요 내용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저급한 수준에 머물 수밖에 없다. 

  또한, 통합사회과를 담당할 교사의 문제도 크다. 현행 사범교육제도 아래에서 통합사회교육을 전문으로 이수한 교사는 없다. 그들은 모두 자신의 고유한 전공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전문가다운 수준 높은 교육을 통해 학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통합사회과를 가르치게 된다면 모두가 비전공자로서 교육의 수준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사회과 교육의 질적 저하를 분명히 예상하면서도 이 제도를 강행할 필요가 없다.

창의·융합인재 양성과 국정 교과서 사용은 모순

  국가가 교과서 정책을 조령모개식으로 추진하는 일은 교육을 ‘백 년의 대계’라고 보아 온 기존의 지혜에 대한 무모한 도전이다. 이는 학생을 실험대상으로 삼는 일일 뿐만 아니라 교육을 깔보고, 전공자를 모독하며, 교육현장을 파괴하는 행위다. 우리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몇몇 교육 행정가들의 잘못된 실험정신에 시달려왔다. 이제 그 시달림에 마침표를 찍자. 그리고 교육 당국은 당연히 교과서 정책에 더 큰 신중을 기해야 한다. 

  국가가 지향하는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국정교과서를 사용하겠다는 발상 자체에는 논리적 모순이 크다. 그러면 대안은 있는가? 있다. 대안이라기보다는 기존의 제도를 유지하며 보완하면 된다. 사교육비 부담의 가중을 막고, 일반고 전성시대를 열기 위한 방책이 통합사회과 교과서의 국정화에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한편, 통합사회과를 설치하고 그 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는 발상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론과 맞물린 꼼수다. 이는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시도에 대한 반발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이를 강행하기 위해 변죽부터 울려보려는 시도다. 박근혜 정부가 한국사 교육과 사회과 교육을 망치려 작심하지 않은 이상 지금의 교과서 국정화 정책은 반드시 재검토되어야 한다. 모든 규제를 푼다고 하면서 교과서에 대한 통제만은 유독 강화하려는 의도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 ?
    교양있는부자 2014.09.28 10:57

    위의 글에서 " 통합사회과를 설치하고 그 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는 발상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론과 맞물린 꼼수다 "라는 말씀이 정확한 지적으로 보입니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에 의한   한국의 식민지화를 미화시키고 

    적극적인 친일파를  정당화하려는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위해서

    사전 정지작업을 하는 것일까 ?

     

    특히 다원주의 사회를 거역하는 사회과 통합 및 한국사 국정 교과서화를 위한

    사전 정지 작업  획일화된 사회관,     일화된 역사관을 강요하려는 것일까 ?

     

    " 100% 대한민국 "이라는 말이  다양성을 부정하고 획일화된 사회를 만든다는 뜻이었을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조회 수 최종 글 글쓴이
오름 정치개혁과 일상으로 돌아감 2 131777   눈사람글방
오름 우리 루리웹 (매니아=오덕후) 회원 들이 세월호 침몰로 죽을 때 문재인 대선후보 님의 행적과 안철수 대선후보 님의 행적 file 2 148017   흑묘
오름 박근혜나 문재인은 다 같이 유신졍권의 공작정치와 선동정치를 배우며 자란 사람들이다. 한 사람은 청와대 안방에서 ... 1 4 152493 2017.04.17(by 회원101) 일경
오름 대한민국 시스템을 바꿔주세요! 3 142571   슈렉
오름 안철수 후보님에게 필요한 것은 2 151879   대한민국사랑
»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이루려는 꼼수 - 역사왜곡의 주범으로 반드시 심판 받을 것 1 1 6315 2014.09.28(by 교양있는부자) 철수랑
6848 이념갈등 부추긴 교육부, 교과서 국정화 꼼수 즉각 중단하라 1 8414   철수랑
6847 여론 “현 국회 해산후 새 국회를” 비등…“침묵민심, 새 총선 가리자” 확산 1 8245   철수랑
6846 교활한 왜구를 닮은 수구파 청맹과니들은 자기들이 지지하는 사람만 대통령이 되기를 바라는 것일까 ? 3 0 7743 2014.10.30(by 교양있는부자) 교양있는부자
6845 거짓말로 시작해 거짓말로 끝내가는 박근헤의 인사시스템의 끝은? 0 6374   title: 태극기미개인
6844 희망의 철길 - 평화침목 기증운동 file 0 7313   철수랑
6843 박근혜와 새누리당의 넘친 정치피크, 결과는 정전과 배상 1 1 6821 2014.09.26(by 미개인) 철수랑
6842 집단적 자위권의 5개 항목 발동요건 0 5501   철수랑
6841 부정선거 방지를 위한 선거법 개정 방안 정책토론 국회서 열려 0 7120   철수랑
6840 알리바바 시총240조 공룡행보, 사업 영역 무차별 확대 전망 0 13118   철수랑
6839 2012대선 후보경선 때 문제가 많았던 모바일투표를 다시 도입하려는 계파가 문제다 모바일투표는 대리투표 공개투... 3 0 15372 2014.09.27(by 교양있는부자) 교양있는부자
6838 박근혜의 나홀로 정치는 부메랑 file 0 5435   철수랑
6837 국격 손상범 제 1호는 바로 박근헤 자신이다! 4 2 9318 2014.09.23(by 미개인) title: 태극기미개인
6836 돈? 삼성 이건희처럼 벌어야 돈 번다고 할 수 있지.... 1 0 6786 2014.09.22(by 미개인) 철수랑
6835 '명량'을 통해 본 조선과 대한민국의 유사점 0 7451   title: 태극기미개인
6834 시골의사 박경철 님의 인터뷰 0 7727   교양있는부자
6833 애국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4 1 11911 2014.10.29(by 교양있는부자) 교양있는부자
6832 현대 정몽구 떠나나? 막대한 후계비용 속 '곳간 행보' 부산 0 7426   철수랑
6831 이런 직원복지 제도를 도입한 회사들이 많이 늘어나기 바란다 1 0 6961 2014.09.21(by 교양있는부자) 교양있는부자
6830 양심은 국적, 지역, 성별, 학력, 능력을 가리지 않고, 올바른 것 , 더 좋은 것을 찾는 사람만 가질 수 있다 1 0 7540 2014.10.10(by 교양있는부자) 교양있는부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391 Next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