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호갱 공화국
비싸야, 비싸도 팔리는 이상한 나라
유아·뷰티상품·가전 등 해외보다 최고 10배 비싸
소비자들 "우리가 봉이냐" 해외직구로 잇단 엑소더스....업계 뒤늦은 고객 잡기에 "자기성찰부터 해야" 쓴소리
유아·뷰티상품·가전 등 해외보다 최고 10배 비싸
소비자들 "우리가 봉이냐" 해외직구로 잇단 엑소더스....업계 뒤늦은 고객 잡기에 "자기성찰부터 해야" 쓴소리
입력시간 : 2014/11/26 18:00:13 서울경제신문 인용, 안현덕·이수민기자 always@sed.co.kr
같은 상품이라도 국내 가격이 해외 쇼핑사이트보다 최고 10배나 비싼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나라와 달리 유독 한국 소비자는 '호갱님('호구'와 고객을 합친 말로 어수룩한 손님을 지칭)'이라는
35개 제품의 국내 판매가격을 해외 유명 쇼핑사이트 '아마존'과 비교한 결과 제품가격 차이가 기본적으로
2배에서 크게는 10배까지 뻥튀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35개 제품 가운데 국내 가격이 아마존 판매가를 밑도는 제품은 단 1개에 불과했다.
한국 소비자를 '호갱님'으로 추락시킨 대표적 품목은 유아용품으로 제품에 따라 크게는 10배 가까이 차이를
한국 소비자를 '호갱님'으로 추락시킨 대표적 품목은 유아용품으로 제품에 따라 크게는 10배 가까이 차이를
보였고 수입식품과 의약품도 최고 4배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뷰티 상품의 경우 2배는 기본이며 4배까지
국내 판매가가 비쌌으며 가전제품은 평균 2배가량 높았다.
프리미엄 패딩도 보통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해외 사이트에서 50만원대인 캐나다구스 남성 패딩의 경우
국내에서는 최고 103만원가량에 팔리고 있다
이처럼 수입제품의 가격거품이 극심한 것은 제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도소매상 등이 각자 이윤을
챙기면서 값이 치솟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입가나 현지 판매가보다 비싸게 팔면서도 겉으로는
가격파괴 등을 내세우는 유통업계의 '양두구육'식 영업행태와
'바다 건너온 물건이면 무조건 좋다'는 사대주의 발상이 맞아떨어지면서 국내 유통시장은 이른바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해 잘 팔린다"면서 "가격을 지속적으로 올려도 잘되기 때문에 해외 브랜드들이
한국 가격정책을 높게 가져가는 것"이라고 털어놓았다
결국 똑똑해진 소비자들이 '호갱 탈출'을 선언하며 해외직구 엑소더스가 일어나기 시작했고 소비시장은
펼치고 있지만 이미 등을 돌린 소비자들의 엑소더스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소비자원은 한국 소비자의 직구 피해를 막기 위해 내년 1월 '해외거래소비자 지원센터'를
지금까지의 잘못된 관행을 스스로 고쳐가는 유통업계의 성찰이 절실한 때"라고 지적했다
=> 기사와 같은 소비를 하는 사람은 가치있는 삶 보다 추종적인 경박한 삶을 추구한다고 본다
그러나 합리적인 소비자는 상품의 적정가치를 추산하여 구매할 것이니 판매자의 고가정책에 따른
희생물이 되지 않을 것이다
합리적인 소비자는 정치적인 선택에서도 인품과 능력이 좋은 후보를 골라 값어치 있는 주권을
행사하지만, 가치를 분별하려는 의지가 없는 소비자는 정치적인 선택에서도 교언영색에 능숙한
후보의 감언이설에 박장대소하며 주권을 값어치 없게 행사하리라 본다
외국의 제조. 판매업체들이 가격을 높게할수록 잘 팔리는 한국을 이상한 나라로 보는 것은 당연하다
세계적 웃음거리인 이상한 나라에서 벗어나도록 노력하는 합리적인 사람이 늘어나야
한국의 정치수준도 나아질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