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치/사회 ♜♞♟ 토론 게시판입니다.
* 퍼온 기사의 경우는 꼭 출처를 밝히고 본문 하단에 주소 링크(새창으로 뜨게)를 걸어주세요. 기사의 출처표기와 링크가 없거나, 중복 게시물, 깨진 게시물(html 소스가 깨져 지져분한)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이동 또는 삭제 될수 있습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경환 배짱 운전…벼랑 질주 속 “탄탄대로”

‘오차의 왕’ 비아냥 불구 성장 4%대 홀로…가계빚 눈덩이 ‘시한폭탄’ 고조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여러 기관에서 내놓고 있다.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국회 예산정책처 등 국가 기관은 물론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해외 경제 기관에서도 전망치를 정기적으로 발표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같은 국책 연구기관과 현대경제연구원·KB금융연구소 같은 민간 기관에서 역시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는다.

여러 기관이 내놓는 전망치를 통해 정부는 예산 편성 등 향후 국가 정책을 설정하고 민간기업은 미래 사업 전략에 이를 활용한다. 그래서 경제 전망치는 경제 지표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수치 중에 중요한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기관들은 신중을 기해 전망치를 발표하는데, 어느 기관보다 신중을 기해 정확도가 높아야 할 정부가 이 수치에서 큰 간극과 오차를 보이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에 따르면 기재부의 전망치 오차는 2.33%에 달했다. 다른 기관들이 대부분 1%대인 점을 감안하면 기재부는 그야말로 ‘오차의 왕’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게 됐다. 그런 기재부가 내년도 한국 경제 성장률을 4%로 여전히 내세우고 있다. 지난 7월부터 최근까지 기재부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차질 없이 이행된다면 4% 성장 달성이 가능하다고 강조해 왔다.

하지만 최근 KDI 등 경제연구기관과 OECD 등 해외기관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대부분 3% 중후반으로 예측하며 기재부와 다른 전망치를 내놓았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한 듯 최경환 부총리는 지난 10일 한 포럼 석상에서 “당초에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4%로 전망했지만 대내외 여건 변화로 하방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이다”며 기존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섰다.

하지만 학계와 시장에서는 무리수인 전망치와 함께 잘못된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한국경제의 시한폭탄인 가계 부채가 급증했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고 있다. 또 29일 국회 통과 예정인 ‘부동산 3법’이 가계 부채 증가를 더욱 부채질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초이노믹스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초이노믹스는 이미 실패한 정책일 뿐만 아니라 위험을 부지불식 키우고 있는 것이 정말 심각하다고 거칠게 쓴소리를 하고 있다. 스카이데일리가 최근 발표된 경제 성장률 전망치와 초이노믹스에 대한 비판 의견 등을 들어봤다. 

 ▲ 장밋빛 전망을 지속적으로 내놓으면서 확장적 경제운용을 기조로 한 한국경제 핸들을 잡아 온 초이노믹스가 또다시 거센 비판에 직면했다. 현실성을 고려하지 않은 4%대의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 효과를 보이지 않는 유동성 팽창 정책, 급속도로 늘어나는 가계부채, 부처간 불협 화음 등으로 인해 초이노믹스는 사면초가에 처한 채 그야말로 총체적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소비부진과 가계빚 증가로 인한 이른바 ‘돈맥경화’ 현상이 한국경제를 벼랑끝으로 몰고가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최경환 책임론’이 부상하고 있다. 

초이노미스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다시 한번 끓어오르고 있다. 최경환 경제팀이 4%로 잡은 내년도 성장률은 현실을 무시한 무리수이며 부동산 3법을 통해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시키겠다는 의도는 가계부채를 더 늘리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라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결론적으로 초이노믹스는 실패한 정책이라는 날선 비판도 나왔다.
 
경제전망치, 국책·해외기관는 3%…기재부만 나홀로 4%
 
최근 국책연구기관 및 해외기관들이 내년도 한국 경제의 성장률을 대부분 3%대로 전망하며 한국 경제의 저성장을 예측했다.
 
지난 10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5%로 하향조정했다. 이는 지난 5월 전망치보다 0.3%p 낮춘 것이며, 연구원은 대내외 경제여건을 감안하면 이보다 성장률이 더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자료: 각 기관 ⓒ스카이데일리

김성태 KDI 연구위원은 “최근 국제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을 생각하면 한국 경제의 성장세는 예상을 밑돌 가능성이 있다”며 “대내적으로 추진중인 확장적 거시경제정책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면 내년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원하는 만큼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3%대 성장률 예측은 여러 경제연구기관과 해외기관에서도 나왔다. 한국은행이 3.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3.8%로 201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예측했다. 한국경제연구원·우리금융연구원·KB금융연구소 등은 3.7%로 성장률을 잡았고 KDB대우증권과 노무라증권은 3.5%로 성장률을 예상했다.
 
대부분 기관들이 3%로 내년도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한국경제 정책의 컨트롤 타워인 기획재정부와 최경환 부총리만은 4%의 경제 전망치를 고수해왔다. 지난 7월 기재부는 4%의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았고 현 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차질 없이 이행된다면 4% 성장 달성이 가능하다고 강조해왔다.
 
기재부의 전망이 들어맞는다면 문제가 되지 안겠지만 기재부의 예측은 자주 틀렸다. 지난 7월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이 국회 예산정책처에 의뢰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2012년 사이 기재부의 성장률 평균 오차는 2.33%로 다른 기관보다 유난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자료: 국회 예산정책처, 민병두 의원실 ⓒ스카이데일리

민 의원에 따르면 오차율은 한국은행이 1.5%, 국회 예산정책처가 1.82%, KDI가 1.58%, OECD가 1.72%인데 반해 기재부의 오차율은 무려 2.33%로 나타나 기재부는 ‘오차의 왕’이라는 오명을 들었다.
 
이런 이유로 기재부의 성장률 전망치는 오차가 많은 무리한 수치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런 비판을 의식한 듯 최근 최경환 부총리는 내년도 하방리스크 증가를 언급했다.
 
지난 10일 최 부총리는 YTN 미래전략포럼에서 “당초에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4%로 전망했지만 대내외 여건 변화로 하방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한 발 물러선 최 부총리의 이 같은 발언 두고 일각에서 범부처 연합으로 22일 발표되는 ‘2015년 경제정책방향’에서을 기재부가 수정 성장률을 발표하는 것 아니냐는 예측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 “초이노믹스, 41조 써도 경기 불황에 가게 빚만 늘어” 쓴소리 
 
성장률 전망치가 논란이 되는 가운데 다른 한편에서는 가계 부채 증가를 초래한 초이노믹스의 부동산 정책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지난 10일 국회 입법조사처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건전성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입법조사처는 “대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서민금융정책의 목표가 되면 안된다”며 “LTV·DTI 규제와 이자율 수준의 정상화를 통해 가계부채의 적정 규모 유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입법조사처는 “거시경제와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대내외적 충격이 발생하면 가계부실이 확산되면서 실물부문과 금융시장의 위기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자료: 국회, 국토교통부 등 ⓒ스카이데일리

국회도 우려하는 가계부채는 1060조원대로 추산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1월에만 부채는 7조원 가량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가계부채에 대한 심각성은 도를 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기재부와 여당이 추진중인 이른바 ‘부동산 3법’이 가계대출 증가를 더 부추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계류중인 부동산 3법이란 주택법 개정안, 재건축초과이익 환수법 폐지안, 도시·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 등을 말한다.
 
부동산 3법은 △분양가 상한제 탄력 적용지역은 민간택지로 한정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 폐지는 5년 유예 △재건축 조합원의 2주택 이상 분양 허용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정부는 부동산 정책 활성화에 반드시 필요한 법안이라며 그동안 3법의 추진을 강조해 왔다. 지난 10일 여야 대표단은 회동을 갖고 부동산 3법 등을 29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여야 합의로 이 법안들은 통과 예정이지만 학계와 시민단체 등에서는 반대의 목소리가 높았다.
 
경제정의실천연합은 “정부 정책홍보 등으로 소비자를 현혹하며 분양가격을 높게 책정했다”며 “급증하고 있는 가계부채를 더 늘리는 부작용 나온다”고 비판했다.
 
한 경제학과 교수도 “주택 공급 활성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분양가격 급등과 투기 세력이 몰린다는 단점이 더 크다”며 “LTV·DTI 완화에 이어 3법까지 통과되면 이는 가계부채를 더 증가시킬 가능성이 많아서 안 그래도 한국 경제의 폭탄인 가계 부채가 더 위험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초이노미스가 무리한 전망치와 부동산 정책으로 비판을 받고 있는 가운데 초이노믹스 자체가 실패한 정책이라는 날선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 다수의 기관이 내년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로 예측하는 가운데 기재부만 4%대로 전망하고 있다. 기재부 성장률 전망치는 최근 몇 년간 오차가 다른 기관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나 경제 컨트롤 타워의 신뢰성을 크게 추락시켰다. 이로 인해 기재부의 수장인 최경환 부총리에게 비난의 화살이 몰리고 있다. [뉴시스]

익명을 요구한 한 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최경환 부총리의 최근 발언과 기재부가 최근 발표한 ‘그린북’을 종합해 보면 최 부총리와 기재부의 자신감이 전보다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41조원의 확장적 거시정책을 펴고 부동산 정책을 완화시켰지만 효과는 없고 그 대신 가계빚만 잔뜩 증가했기 때문이다”고 쓴소리를 했다. 
 
또 그는 “최근 기재부는 국토부·고용부 등 다른 부서와도 마찰을 빚고 있어 관가에서도 곤혹스러워 하는 눈치다”며 “정책과 소통에서 모두 낙제점인 초이노믹스는 한 마디로 실패한 정책이다”고 비판했다.
 
정계 소식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최 부총리는 2016년 총선을 거쳐 국회에 복귀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며 “만약 최 부총리가 선거가 나간다면 내년 중에 기재부 장관에서 내려올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년은 대내외적으로 우리 경제에 매우 중요한 시기로 최 부총리가 갑자기 떠나면 그것도 큰 문제로 야권에서 최 부총리에게 출마하지 말라는 주장이 나올 정도다”며 “경제 정책을 실패하고 국회로 떠나버린다면 정말 무책임하다. 결국 그에 대한 국민적 질타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고 전했다.

<출처 : http://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287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조회 수 최종 글 글쓴이
오름 정치개혁과 일상으로 돌아감 2 141569   눈사람글방
오름 우리 루리웹 (매니아=오덕후) 회원 들이 세월호 침몰로 죽을 때 문재인 대선후보 님의 행적과 안철수 대선후보 님의 행적 file 2 158444   흑묘
오름 박근혜나 문재인은 다 같이 유신졍권의 공작정치와 선동정치를 배우며 자란 사람들이다. 한 사람은 청와대 안방에서 ... 1 4 162665 2017.04.17(by 회원101) 일경
오름 대한민국 시스템을 바꿔주세요! 3 152798   슈렉
오름 안철수 후보님에게 필요한 것은 2 159865   대한민국사랑
6989 “4류 유권자”와 “4류 정치”부터 청산돼야 .... 4류 정치의 뿌리는 4류 유권자 7 2 8298 2015.02.01(by 교양있는부자) 교양있는부자
6988 진보당 의원들과 함께 법을 만든 국회의원들의 의원직은 어떻게 되나? 그 법들은 모두 폐기? 1 1 6580 2014.12.24(by 미개인) 철수랑
6987 원전 대재앙 공포, 북한 의혹으로 책임 전가하고 도망가려고? 밥만 축내는 멍청이 나쁜 인간들 1 0 8578 2014.12.24(by 미개인) 철수랑
6986 속여도 속는다고 생각도 못하게 하는 정치와 수사 기술을 수출하면 대박 1 1 7216 2014.12.23(by 교양있는부자) 철수랑
6985 삼성 이재용의 전 부인 대상(미원)그룹 상무 임세령 보폭 달라져 / 0.1%의 혼맥이 대한민국 지배 0 13438   철수랑
6984 이명박근혜의 최경환 초이노믹스 포퓰리즘 자충수, 국민만 위기로 내몰렸다 0 6832   철수랑
6983 왜 우리는 국민이 목말라 해야 하는가? 0 6153   철수랑
6982 600만 비정규직 어두운 현실 다룬 "카트" , 누구나 영화 속의 주인공 될 수 있는 현실. 0 10100   철수랑
6981 지난 대선은 명백한 부정선거 / 어둠은 빛을 절대로 이길 수 없다 1 6595   철수랑
6980 러시아 부도위기 우려, 우리 경제에 기회? 2 9687   철수랑
6979 임종인 탈당 선언문 "잡탕정당 희망없다 ...." 2007, 01, 22 발표했던 10배의 충격파에 진입 그리고 안철수 의원... 11 1 7375 2015.02.01(by 교양있는부자) 교양있는부자
6978 누가 더 북한스럽고 공산주의식 발상인가? 1 4644   철수랑
6977 7선 국회의원 정몽준 "장남 초고속 상무로 장녀는 5천억 재단 기획", 역시나 꼼수 졸부들 0 10139   철수랑
6976 현대 쏘나타 죽음의 공포 급발진 사고 1위 공포확산 나몰라라... 정몽구가 직접 타봐야 0 12772   철수랑
6975 [토론회 참석 요청] 2015년 북한 신년사 분석과 정세 전망 0 9605   철수랑
6974 박근혜 통일대박과 반대로 가는 통일비용론, 학문이 아니고 소설? 1 6079   철수랑
» 최경환의 벼랑 질주 배짱 운전, 비판 무시 홀로 성장 - 가계빚 시한폭탄 폭발 가능성 0 6269   철수랑
6972 1979년 12월 12일에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하나회 군인에 의한 권력 장악 개시 = 12, 12 사태 0 14049   교양있는부자
6971 잘 아는 사람이 면장을 해야 面이 발전하고 面民의 마음도 편안하다 1 0 7128 2014.12.23(by 교양있는부자) 교양있는부자
6970 이런 경찰이 사랑 받을 경찰이다 0 6111   교양있는부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391 Next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