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민주주의 체제는 선거를 통해 정치의 잘못을 심판하고 국가를 업그레이드(상승)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에 반해 독재체제 선거는 우익이건 좌익이건 선거가 집권세력에 의해 조작돼 독재 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한 통과의례로 이용된다 .....

 1980년대 중반 민주화 이후 우리나라 선거는 집권세력을 교체할 수는 있었지만, 국민을 위해

보다 나은 미래를 열어주지 못했다 .....

1995년 4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한국 정치를 ”4류 정치“ 라고 꼬집었다.

그 후 20년이 다 돼가는 데도 아직도 한국정치는 ”4류 정치“를 벗어나지 못했다.

선거가 국격을 업그레이드 하지 못했음을 반영한다.

그 이유는 분명하다. 정치인들이 당선된 뒤에는 당리당략과 사리사욕만 쫓는 데 기인한다.

또 다른 대목으로는 유권자들의 후진적인 투표행태를 빼놓을 수 없다.

 

 유권자들은 선거 때  후보자의 자질이나 의정활동을   눈여겨보지 않는다.

그 대신 유권자들은 개인적인 친소관계나  지역연고에 이끌려 후보를 찍는다.

“4류 유권자” 수준을 넘지 못했다.

개인친소 관계나 지역연고 덕으로 당선된 의원들은 의정활동에서도 국익을 팽개치고

개인관계나 지역연고만을 위해 뛴다 ..... 

“4류 정치”속에서 선거는 밝은 미래를 열수 없다.

“4류 유권자”들이  뽑아 준   “4류 정치”의 독() 탓이다.

우리 정치가 “한 단계 진전” 하려면   “4류 정치”   “4류 유권자”를  청산해야 한다.

 

그것들이 근절되지 않는 한 선거는 백번 치러야 국격 상승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집권세력만 바꿀 뿐이다. 후진적 한국 선거문화의 부끄러운 치부가 아닐 수 없다.

 

기사의 출처 =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573

 

=>  "이건희 삼성회장 '정치는 4류' 발언 여전히 유효"

 

2013.12.13  10:23:30  김영주 기자  |  youngkim@choicenews.co.kr
 
경제계는 이건희 삼성 회장이 지난 1995년 4월 북경에 주재하는 한국 특파원들과의 기자 간담회에서
 “우리나라 정치는 4류, 행정은 3류, 기업은 2류”라고 말했던 베이징 발언을 새삼 실감하는 분위기다.
 18년 전에(지금은 20년이 되어 감)  한 기업인의 정치푸념이  아직도 유효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4류 정치의 뿌리는   4류 유권자다
 
4류 유권자는  1)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군사력으로 정권을 뺴앗은    민주주의 파괴자들을
옹호하는   수구꼴통의 청맹과니들과    2)  선진국형 민주주의를  한국에서 실현하자고 주장하는
분들에게   종북, 좌빨이라는  빨간색을 칠하는  꼭두각시들이다
 
4류  유권자가 줄어들면   4류 정치꾼도 등장하기 어려워서   4류 정치를 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3S 활성화로    4류 유권자를  늘리려는    4류  정치꾼들에게 맞서서 
4류 유권자를 줄이려는 노력을 해야    선진국형 민주주의를  보게 될 것이다
 
성탄절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좋아하지만 
선진국형 민주주의는  4류 정치꾼을  거부하는  건전한 상식을 가진 분만   좋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