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책략 아닌 조선책략 |
1880년 6월 예조참의 김홍집이 사신으로 일본에 갔다. 1776년 강화도조약의 뒤처리로 부심했다. 일본에 와있던 청국 공사 하여장(何如璋)과 참찬관 황준헌(黃遵憲)이 찾아왔다. ‘타향에서 만난 옛 친구’였다. 몇 차례 오가며 무역과 관세에 관해 조언을 들었다. 주된 화제는 자연 세계정세와 그 대응책이었다. “러시아가 귀국 국경 도문강구 일대에 무슨 시설을 해놓았다던데 무엇이지요?” 하여장은 우려를 나타내며 말했다. “근일 서양에서는 ‘세력균형[均勢]’라는 법칙이 있습니다. 여러 나라가 연합하여 강국을 견제하는 외교의 하나이지요.” 조선책략 아닌, 중국책략이요 영국책략 어느덧 김홍집 일행이 귀국할 때가 되었다. 황준헌은 자신이 쓴 책 한 권을 건네주었다.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 ‘내가 생각하는 조선의 책략’이란 뜻이다. ‘사의(私擬)’란 말을 붙여 개인적인 소견처럼 말했지만, 당시 중국의 실력자 이홍장의 생각이기도 했다. 패권국의 동아시아 파트너인 일본의 승리 조선책략〉에서 바라던 바와 달리, 중국은 일본과 충돌했고 패배했다(1894). 패권국가 영국의 세계전략에 편승한 일본은 승리했다. 무릇 패권국가는 지역의 하위 파트너를 둔다. 영국의 동아시아 파트너는 일본이었다. 러일전쟁(1905)에서 일본의 승리는 영국의 승리였다. 이로써 동아시아에서의 그레이트 게임은 일단락되었다. 영국처럼 미국도 일본에게 지역 패권을 인정했다. 가쓰라-태프트 협약(1905)이 그것이었다. 20여 년 일찍 개항한 일본은 약 30년에 걸친 집요한 안팎의 작업으로 마침내 조선을 삼켰다. (글 : 김태희 다산연구소 소장) |
2015.05.10 00:17
열강의 지뢰밭으로 만들고 있는 박근혜의 무능 정치 - 한국책략은 어디서 구할꼬
Who's 철수랑

철수랑님의 최근 작성글 | |
강동원 : 박근혜, 총선 정국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곳 전북 남원. 순창. 임실 | 2016-04-02 14:22 |
대통령이 되고 싶은가? 문재인, 안철수, 김종인 그리고 제 정당 정치지도자들에게 | 2016-03-25 12:10 |
19대 야당 국회의원들, 숫자가 부족해서 부정선거쿠데타 박근혜를 대통령이라고 인정했나? | 2016-03-17 14:36 |
국민이 인정하는 야당의 자리를 차지하는 정당이 총선 승리 | 2016-03-15 21:41 |
안철수에게 정치를 잘 못 배웠다고 한 더민주당 김종인, 정치 배운 적이나 있는가? | 2016-03-14 19: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