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찍어내기’ 대신 ‘식물대표’로…작전 바꾼 청·친박 이용욱 기자 woody@kyunghyang.comㆍ김, 전략공천도 가능한 ‘우선추천제’ 거론하며 물러서 ㆍ청 ‘공천개입설’ 잠재우고, 주류 ‘당 운영권’ 확보 전략 청와대와 친박계 등 여권 주류가 내년 총선 공천룰을 둘러싼 권력투쟁 국면에서 ‘플랜B’로 이동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당초 친박 중심 비대위 체제로 내년 총선을 치르기 위한 ‘김무성 체제 축출’ 전략(플랜A)에서 ‘김무성 체제 무력화’로 전략을 바꿨다는 것이다. 김 대표가 맥없이 후퇴하고 청와대 공천개입설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자 김 대표는 살려두되, 손발을 묶어 ‘식물대표’로 만든다는 것이 ‘플랜B’의 골자다. 실제 새누리당에선 주류의 동시다발적인 김무성 무력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김 대표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접고, ‘전략공천’ 길을 열어놓은 우선추천제를 거론하는 등 물러섰음에도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친박 홍문종 의원은 6일 평화방송에서 “어느 지역이 됐든지 전략적·전술적으로 좋은 후보를 추천할 수 있는 것”이라며 “TK(대구·경북)와 강남도 예외는 아니다”라고 했다. ‘강남 3구와 TK는 우선추천 지역에서 예외’라는 김 대표를 압박한 것이다. ‘친박 맏형’ 서청원 최고위원은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대표가 우선추천제를 제시한 것을 두고 “당헌·당규에 있는 것을 대표가 떡 주무르듯 마음대로 거론하고 있다. 절대 개인이 마음대로 하는 것을 이제는 용서 않겠다. 이렇게 하면 큰 사달이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한다”고 했다. 막말에 가까운 비난으로 당 대표 ‘체면’과 ‘격’을 훼손한 것이다. 친박계들이 각종 인터뷰에서 “국민이 좋아하는 후보”라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띄우는 것도 김무성 무력화와 직결돼 있다. 청와대는 ‘김무성 솎아내기’를 당장 정국 구상에서는 빼놓은 것 같다.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관련 언급을 일절 하지 않은 것이 단적이다. 청와대는 당분간 김 대표를 코너로 모는 발언을 하기보다, 당에서 벌어지는 친박의 김무성 무력화 움직임을 지켜볼 공산이 크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 5일 “언론이 이야기하는 공천권을 둘러싼 갈등과 그런 시각은 대통령의 생각과는 거리가 멀다”고 했다. 주류의 플랜B 선회 배경은 복합적이다. 우선 김 대표가 공천룰과 관련해 주류의 요구를 수용했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후퇴한 만큼 끌어낼 명분이 마땅치 않다. “청와대·친박이 유승민 전 원내대표에 이어 대표도 찍어내려 한다” “청와대가 공천에 개입하려는 것 아니냐” 등 커지는 비판 여론도 부담이다. 당·청 갈등으로 노동개혁 등이 표류할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하는 것 같다. 주류로선 김 대표를 찍어내기보다 무력화시키고, 공천 등 당 운영을 좌지우지하는 것이 실리적으로 낫다는 그림을 그렸을 법하다. 물론 주류는 언제든 플랜A로 회귀할 수 있다. 우선 ‘더 이상 청와대 참모의 총선 출마는 없다’는 청와대 고위 관계자의 전날 발언이 청와대가 새누리당 공천 과정에서 완전히 손을 뗀다는 선언은 아니다. 게다가 청와대는 “여당 의원들이 국정에 무슨 도움을 주었느냐”는 논리로 내심 물갈이를 원한다. 그런 만큼 특별기구 구성 등 공천룰 논의 과정에서 김 대표가 주류의 이해관계와 어긋나는 태도를 취한다면 ‘김무성 체제’ 전복 시도는 다시 가시화할 수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