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치/사회 ♜♞♟ 토론 게시판입니다.
* 퍼온 기사의 경우는 꼭 출처를 밝히고 본문 하단에 주소 링크(새창으로 뜨게)를 걸어주세요. 기사의 출처표기와 링크가 없거나, 중복 게시물, 깨진 게시물(html 소스가 깨져 지져분한)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이동 또는 삭제 될수 있습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구조조정하려면 무책임과 불신이 해소돼야
유 철 규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정부의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가 금융위원회 주도로 운용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구조적 저성장이 지속되면서 한계기업이 증가하고 있고, 이들 기업을 어떤 식으로든 처리해야 할 필요성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 6월의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에 보면, 외부감사 대상인 비금융법인 25,452개 가운데 3년 이상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부실기업은 작년 말 현재 3,295개였다. 조사 대상 기업의 15.2%에 이른다. 2009년에는 2,698개사로 12.8%였던 것이 빠르게 늘고 있다. 또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서도 49개사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 한계기업 넷 중 세 곳은 이 상태가 몇 해씩 지속되는 만성적 부실상태이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부실기업 빠르게 늘어

  또 한 투자분석업체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기업 가운데 3년 이상 연속적자를 보이고 자본잠식을 기록한 기업은 793개로서 이들의 지난해 적자는 7조 원을 넘겼으며, 자본잠식규모도 49조 원을 넘어섰다. 은행에 돈을 빌린 자산 120억 원 이상의 기업들 중 자본잠식상태에 빠진 기업들이 대출받은 금액이 52조원에 이른다.

  정부는 사모펀드를 통한 투자 그리고 매각, 인수합병 등 시장 주도의 구조조정을 활성화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시장이 쉽게 흡수할 수 있는 규모가 아니다. 최근에는 주요 기간산업과 대기업 군에서 한계기업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그 규모를 쉽게 가늠하기도 어렵고, 규제 완화를 주창해 오던 정부의 논리도 문제가 된다. 내년 초부터 부실 중견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에는 들어간다지만, 대기업계열사의 경우는 총선일정을 감안한다 했기 때문에 벌써부터 대마불사나 형식적인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대기업 계열사의 경우는 외국인 지분이 높고 은행들의 영향력도 약해서 구조조정의 주체가 모호하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6월부터 부실기업 구조조정 전문회사 신설을 추진했지만 3조 원 규모의 출자·대출을 떠안게 될 은행들이 거부했기 때문에 백지화됐던 데서도 볼 수 있듯이 정부와 은행 간의 불협화음과 불신도 심하다. 더 이상 자금지원에 따른 의사결정의 책임을 져 주지도 않는 정부 말을 따르기에는 부담이 너무 컸다.

기업회계의 투명성과 경영자의 정직성이 담보되어야

  이 가운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한계기업의 경영자에 대한 불신이다. 가장 심각한 조선업종을 보면 D사의 경우 CEO의 교체 이후 반기 만에 이전 몇 년간 해마다 수천억대 영업이익을 보이던 것이 갑자기 3조 2,000억 원 적자로 돌아섰다. 하반기에도 2조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된다. 이런 급격한 전환에도 회계상의 문제라는 말 이외에 별다른 해명이 없으니, 시장에서는 후임 CEO가 전임자의 과실을 한 번에 떨어내는 부실떨기를 한 거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이런 현상은 대부분의 대형 조선기업에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다. 올해 실적 부진속에서 연말에 상당한 숫자의 경영진 교체가 있을 텐데, 그렇다면 내년 상반기에 집중적인 전임자 과실 털기가 있지 않겠는가라는 예상도 나온다.

  기업회계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고, 경영자의 정직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무슨 근거로 필요한 자금을 계산할 것이며,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지 모르게 되기 때문에 구조조정은 성공하기가 어렵다. 부실경영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을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정부의 어떤 결정도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 한편 현재 조선업계의 천문학적 적자가 해양플랜트 산업의 손실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해양플랜트 산업은 정부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되어 거액의 정부 R&D 비용이 연구소와 산업체 등에 투입되었던 부문이다. 이 내용에 대해서도 국민에게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조회 수 최종 글 글쓴이
오름 정치개혁과 일상으로 돌아감 2 141574   눈사람글방
오름 우리 루리웹 (매니아=오덕후) 회원 들이 세월호 침몰로 죽을 때 문재인 대선후보 님의 행적과 안철수 대선후보 님의 행적 file 2 158449   흑묘
오름 박근혜나 문재인은 다 같이 유신졍권의 공작정치와 선동정치를 배우며 자란 사람들이다. 한 사람은 청와대 안방에서 ... 1 4 162672 2017.04.17(by 회원101) 일경
오름 대한민국 시스템을 바꿔주세요! 3 152798   슈렉
오름 안철수 후보님에게 필요한 것은 2 159865   대한민국사랑
7409 박근혜 대통령 이화여대 방문 뒤 남은 것은 ‘쓰레기’···학생들이 직접 치워 1 0 4964 2015.11.01(by 다산제자) 백파
7408 박근혜와 김무성의 ‘저질러’ ‘저질로’ 1 4433   철수랑
7407 교과서 생각 0 3866   백파
7406 [오늘의 연합뉴스] 록히드마틴 "한미, 사드 한반도 배치 공식·비공식 논의중" 0 5592   백파
7405 연전연패, 이대로 좋은가? 2 3820   다산제자
7404 ‘박근혜 국정화 강행’에 대응책 없는 야당 쩔쩔매, 문재인은 하늘도 알고 땅도 아는 ‘부정선거쿠데타 박근혜 퇴진’으... 0 5300   철수랑
» 구조조정하려면 무책임과 불신이 해소돼야 0 4562   백파
7402 언론인들이여, 이제 그만 깨어나라 1 3691   철수랑
7401 박근혜의 ‘이해 불가’ 언행에 민심 폭발, 야당은 ‘박근혜 퇴진’ 상식을 외쳐라. 1 5188   철수랑
7400 <이산상봉> 남측 2차 방문단 오늘 금강산행…'눈물의 상봉' 0 4081   백파
7399 박근혜는 ‘부정선거쿠데타’에 대한 국민들의 타오르는 저항 꺾을 수 없어 0 3854   철수랑
7398 헬조선, 원인은? 치료약 있나? 백약이 무효? 0 5493   철수랑
7397 강동원 의원의 '대선 개표부정' 의혹 제기 지지 목회자 시국성명 1 6036   철수랑
7396 남북 이산가족 상봉 이틀째…3차례 6시간 만나 1 7562   백파
7395 머슴 새누리당 대표 김무성은 입 신경 써야 0 5917   철수랑
7394 어느 위안부 할머니의 죽음 [김정남] 0 5100   백파
7393 '민족의 비극' 이산가족들 오늘 금강산서 눈물의 상봉 0 4324   백파
7392 노벨문학상 알렉시예비치 "21세기는 자유의 세기…독재 북한 망할것 1 3410   백파
7391 [영남일보​사설] 조희팔 생존여부, 은닉재산 꼭 밝혀야 2 4457   백파
7390 박근혜대통령 정부가, 실수하고 있다 5 7246   백파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91 Next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