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치/사회 ♜♞♟ 토론 게시판입니다.
* 퍼온 기사의 경우는 꼭 출처를 밝히고 본문 하단에 주소 링크(새창으로 뜨게)를 걸어주세요. 기사의 출처표기와 링크가 없거나, 중복 게시물, 깨진 게시물(html 소스가 깨져 지져분한)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이동 또는 삭제 될수 있습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겨레신문 칼럼)과학기술자와 국회의원 선거 / 윤태웅

 

선거철만 되면 선거공학이나 정치공학이란 말이 많이 들립니다. 계략이나 술책의 의미로 정치인이나 언론인들이 주로 사용하지요. 저 같은 공학자에겐 좀 불편한 표현입니다. 정치공학이 정치에 공학적 방법론을 적용하는 거라면,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의 정치적 판단을 내린다는 뜻이겠지요. 정치적 술수를 정치공학이라 일컫는 관행은 공학기술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는 청년 학생들의 마음을 아프게 할 수도 있습니다.

19대 총선 직전인 2011년 12월 ‘대한민국 과학기술 대연합’(대과연)이라는 단체가 생겨납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전국자연대학장협의회,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한국IT전문가협회 등 주요 과학기술단체가 총망라된 연합체입니다. 대과연은 2012년 4·11 총선과 2016년 4·13 총선을 앞두고 ‘과학기술인 국회 진출 촉구를 위한 서명운동’을 벌입니다. 전국의 이공계 교수들에게 지속적으로 이메일을 보내 서명을 요청하였는데, 2012년엔 무려 1028명이 이름을 올리기도 하였습니다.

대과연의 주장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이공계 기피 현상이나 일자리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정의롭고 안정된 사회를 실현하려면, 과학기술 전문가를 국회로 보내야 한다. 그래야 기술혁신과 합리적인 과학기술정책이 가능하고, 과학적 합리성이 꽃필 수 있게 될 것이다.” 선언문은 과학기술 전문가를 더 많이 공천하라는 ‘강력한 촉구’로 마무리됩니다.

과학적 합리성이 한국 사회에 뿌리를 내려야 한다는 데는 저도 공감합니다. 오랫동안 그렇게 여겨왔습니다. 과학기술을 잘 아는 국회의원이 더 많아지길 바라는 마음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과연의 선언문은 논리가 너무도 약하고 어설펐습니다. 깊은 고민의 흔적도 별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주장의 근거가 충분했다면 강력히 촉구할 필요도 없었겠지요. 논리가 약하면 말이 세질 수밖에 없습니다. 과학적 합리성은 어떻게 꽃피우고, 정의롭고 안정된 사회는 또 어떻게 실현한다는 건지요?

이공계 기피가 여전한 문제인지도 의문입니다. 이공계 박사는 급증했지만, 그에 걸맞은 일자리는 별로 늘지 않았습니다. <동아사이언스> 변지민 기자에 따르면, 기초과학 분야의 20~30대 과학자는 대부분 비정규직이며, 1~3년 재계약을 해야 하는 저임금 단기 계약직도 상당수에 이른다고 합니다.(<과학동아> 2016년 5월호) 능력이 엇비슷한 박사급 과학자 중에선 운 좋은 소수만 대학에 자리잡고, 나머지는 이곳저곳을 옮겨다니며 불안정한 삶을 살아야 하는 구조입니다. 사정이 이러한데 더 많은 학생이 이공계로 가야만 하는지요? 청년 과학기술인의 현실을 먼저 헤아려야 하지 않을까요?

일자리 부족의 해법과 기술혁신의 관계도 의문입니다. 대형 제조업이 무너지고 전문직 일자리까지 위협받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눈앞에 두고 대과연은 어떤 기술혁신을 말하려 했을까요? 선언문에는 엄밀한 상황 인식도, 합당한 근거도 담기지 않았습니다. 비과학적인 글이었습니다. 형식의 제약을 고려하더라도, 최소한의 논리적 구조는 갖춰야 했습니다. 대과연은 자신의 선언이 이익단체의 응석과 다르다는 사실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안타깝습니다. 기성 과학기술인의 이러한 한계가 어쩌면 정치공학이 정치적 술수가 돼버린 언어적 현실과도 관련이 있을지 모르겠다 싶습니다.

청년 과학기술자들이 상처받지 않고 행복하게 연구할 수 있는 세상이 오면 좋겠습니다. 이들의 아픔을 한국 과학기술의 구조적 문제로 이해하는 게 먼저입니다. 그리하지 못하는 이공계 인사라면, 국회로 보내봐야 별 소용이 없을 것입니다.

윤태웅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profile
    민심은천심^^ 2016.05.11 10:15
    정치 "술수, 모사, 계략, 잔머리" 로 말해야 합니다.

    아직까지 국민들을 '미개인' 으로 보며, 속이는 아주 못된 표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조회 수 최종 글 글쓴이
오름 정치개혁과 일상으로 돌아감 2 140574   눈사람글방
오름 우리 루리웹 (매니아=오덕후) 회원 들이 세월호 침몰로 죽을 때 문재인 대선후보 님의 행적과 안철수 대선후보 님의 행적 file 2 157237   흑묘
오름 박근혜나 문재인은 다 같이 유신졍권의 공작정치와 선동정치를 배우며 자란 사람들이다. 한 사람은 청와대 안방에서 ... 1 4 161640 2017.04.17(by 회원101) 일경
오름 대한민국 시스템을 바꿔주세요! 3 151848   슈렉
오름 안철수 후보님에게 필요한 것은 2 159090   대한민국사랑
» (한겨레신문 칼럼)과학기술자와 국회의원 선거 / 윤태웅 1 2 16909 2016.05.11(by 민심은천심^^) 애국보수안철수
7648 한국 vs 스웨덴 국회의원 동영상 보기 0 7179   민심은천심^^
7647 표창원 어록 file 0 14419   민심은천심^^
7646 2년 만에 햇볕을 보게된 세월호 유류품 file 1 7295   민심은천심^^
7645 노무현 전대통령 서거 7주기 추도식 봉화 특별열차 예매안내 file 1 10171   개성상인2세
7644 국민의당은 보수의 길로가라 2 4 12643 2016.05.23(by 비상하는솔개) 애국보수안철수
7643 :: 원칙(통신예절, 신고누적 등)위배 사유로 블라인드 된 글입니다 :: file 1 5570   개성상인2세
7642 알면 알수록 놀라운 독일 농촌의 '비밀' 1 3 12312 2016.05.06(by 笑傲江湖) 개성상인2세
7641 '사전투표에 탈북자' 동원 뉴스 동영상 보기 0 7457   개성상인2세
7640 투표소에서 수개표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 4 8791   개성상인2세
7639 국민의당 진정성 보이면 집권 가능(아이크레뉴스 보도자료) 1 3 10196 2016.05.06(by 드림프렌) 애국보수안철수
7638 한국과 독일의 주택정책 비교 (사진보기) 1 8476   개성상인2세
7637 난 KBS만 보고듣는다 1 7045   애국보수안철수
7636 안철수 지지율 문재인 지지율을 넘었다 2 9 11588 2016.05.03(by 현산옹) 애국보수안철수
7635 어버이연합의 JTBC,중앙일보 홍석현회장 죽이기 4 2 8291 2016.04.26(by 보물단지) 애국보수안철수
7634 기업의 지배구조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 - 토론 주제입니다 4 3 11847 2016.05.06(by 다산제자) 다산제자
7633 "나는 새누리 안 찍었는데, 새누리 몰표가 나오다니" 1 8139   개성상인2세
7632 :: 원칙(통신예절, 신고누적 등)위배 사유로 블라인드 된 글입니다 :: file 0 4617   애국보수안철수
7631 :: 원칙(통신예절, 신고누적 등)위배 사유로 블라인드 된 글입니다 :: file 0 4344   애국보수안철수
7630 잊지않겠습니다 file 3 11017   애국보수안철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391 Next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