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왕적 대통령제를 차단하기 위한 개헌은 철저하게 살펴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국민의당은 안철수 의원 님이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이 되어도 개헌을 거론 하기에는 알맞지 않다고 봅니다.
안철수 의원 님이 대통령 선거에서 만약에 당선이 되었을 때 개헌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핵심:
* 안철수 의원 님은 제왕적 대통령제에 관한 역대 대통령 들의 모든 사례 들을 종합적으로 철저하게 살펴 보아야 한다고 봅니다.
* 현재 제왕적 대통령제를 과감하게 개혁을 하였을 때 어떠한 당이 결정적으로 이익을 보게 되는지 판단을 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 국민의 당이 집권을 하였을 때 제왕적 대통령제를 실천하기 위한 알맞은 환경이 만들어 지기 위해서는 당원의 수가 가장 많은 당이
되어야 가능 하다고 봅니다. (결국 제왕적 대통령제를 개혁하기 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더불어 민주당 으로 부터 정치 성향이
알맞은 의원 들을 모두 확보를 하여서 대리고 와서 당원의 수가 가장 많은 당이 되는 방법 밖에 없다고 봅니다.)
첫번째 이유: 국민의 당은 과거의 새누리당 만큼 당원의 의원 수가 많지 않습니다.
과거의 새누리당 (자유 한국당)은 집권 시기에 당원의 의원 수가 많아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 하였습니다.
하지만 국민의당의 경우에는 새누리당 만큼 당원의 의원 수가 새누리당 (자유 한국당) 만큼 많이 있지 않으므로 현실성 있게 비교를 하는 것이 알맞다고 봅니다.
두번째 이유: 국민의 당의 당원의 의원 수가 적으므로 제왕적 대통령제를 차단을 하기 위해서 너무 추진을 하면 안철수 의원 님이 추진하는 대선 공약들 중에서 많은 부분 들이 영향을 받은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철수 의원 님이 성공한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는 안철수 의원 님이 추진 하려는 대선 공약 들이 성공을 하여야 됩니다.
그런대 제왕적 대통령제를 차단하기 위해서 너무 추진을 하여 버리면 안철수 의원 님이 대선 공약 들을 실천 하는데 있어서 발언의 힘이 약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 합니다.
세번째 이유: 국민의 당의 당원의 의원 수가 적으므로 주변에 당원의 수가 많은 당의 영향력이 강해지도록 만들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민의 당은 당원수가 현재 적습니다.
그런대 이러한 상황에서 제왕적 대통령제를 차단하기 위해서 너무 강하게 추진을 하게 되면 주변의 당원의 수가 많은 당이 국회의 흐름을 주도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 합니다.